기억의 상자 꿈꾸는 달팽이
루스 이스트햄 지음, 김경희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전쟁으로 소중한 사람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기억을 쫓는 루스 이스트햄의 기억의 상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알렉스다. 그는 보스니아 내전으로 인해 양친을 잃었고 탈출하는 과정에서 동생 마저 잃었다. 그뿐아니라 입양되기 전까지의 모든 기억을 상자안에 봉인하고 그 기억을 잃는게 아니라 잊기 위해 애쓰며 살아가고 있다. 그의 양할아버지 윌리엄도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그는 점점 기억하기 싫어서가 아니라 알츠하이머로 인해 기억을 잃어간다. 그가 기억을 잃어갈 수록 난폭해지고 무엇보다 슬픔이 극대화 되면 그 슬픔을 견디지 못해 폭력성이 가해지는 모습을 윌리엄 뿐 아니라 주변인들을 통해 저자는 말해주고 있다. 물론 저자는 슬픔으로 인해 ㅌ ㅏ인에게 가해지는 폭력, 상처주기 등의 행위를 정당화시키지는 않는다. 웹 할아버지가 죽으면서 남긴 편지에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쓰여져있다. 슬픔을 제대로 견뎌내지 못해 주변인의 탓으로 돌리거나 진실을 외면한다고 스스로가 편안해 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죽는 날까지 자신을 용서하지도 못하고 평안한 죽음마저 기대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슬픔의 주체가 윌리엄도 알렉스도 웹할아버지도 아니었다는데 또 하나 중요한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그들의 슬픔은 그들의 손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전쟁'이라는 가혹한 운명앞에 무방비 상태로 짊어지게 되어버린 것이다. 평화를 위한 전쟁이라는 말 자체가 앞뒤가 맞지 않음을 저자는 알렉스와 윌리엄을 통해 진지하게 그리고 엄중하게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전쟁에 참전하는 것은 우두머리도, 정부도 그 누구도 아닌 바로 우리의 남편, 아들 그리고 동생이나 오빠다. 밀드레드 고모 역시 헨리를 잃지 않았다면 윌리엄을 비난하거나 심지어 왜곡된 진실로 그를 괴롭히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약혼자를 잃었고 행복할 거라 믿어 의심치 않았던 자신의 미래를 잃었다. 사람에게 희망을 잃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그들은 그때의 '기억'도 함께 잃게 되었다. 기억을 잃는다는 것은 자신의 과거를 잃는 것이고 자신이 탄생했던 그 모든 '사실'을 무효화 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때문에 기억이라는 것은 존재의 증명인 것이다. 전쟁이 가져간 것은 개개인의 희망 그리고 존재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루스 이스트햄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알츠하이머를 등장시킴으로써 잊고 싶었던 그 기억마저 잃어가는 것에 대한 쓸쓸함에 대해 말하고 있다. 전쟁이 아닌 자의에 의한 기억삭제마저 질병앞에서 얼마나 무기력해질 수 있는지, 지우고자 했던 기억마저 가치 있는 것임을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반전, 스스로를 용서하는 것 그리고 소문이 아닌 진실을 똑바로 볼 줄 아는 지혜를 일깨우는 책, 기억의 상자를 잊지 않기 위해 자주자주 꺼내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