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과 강물
마광수 지음 / 책마루 / 2011년 9월
장바구니담기


연세대 교수이자 작가 마광수,

그는 정말 법이 나서야 할 만큼 혹은 타인에게 명백하게 피해를 주었다고 인정될 만한 나쁜짓을 했던걸까?

외증조할머니부터 내려온 죽음에 그늘이 그로 하여금 보통사람들보다 죽음에 대해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포함되어 있어 어찌보면 맹목적인 신앙생활을 할 것 처럼 보이지만 실상 그는 태어나 단 한번도 종교, 신앙을 가져본 적이 없는 사람이다. 그에게 신앙이라는 것, 혹은 믿음의 발원지가 있다면 아마도 자연일거라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 흥미롭고 즐거운 꺼리는 존재할 지 몰라도 목표지향적이라거나 계획을 갖고 실천하며 살아온적이 없는 사람이다. 교수라는 직업 역시 게으르고 초,중,고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방학이 맘에 들어 택한 격이니 엄연한 의미에서의 이상추구는 아니긴 하다. 한 없이 자유롭길 원했고 그렇게 되기 위한 일정의 책임을 갖고 살아온 그에게 '즐거운 사라'사건은 여러모로 스스로를 상처입은 존재로 인정하게 만들었다.



마광수의 장편소설 세월과 강물은 자전적 이야기가 많다고 해도 픽션의 구분이 잘 되지 않을 만큼 그의 삶과 닮아있다. 등장 인물이며 사건까지 어디까지가 사실인지 독자로서는 알길이 없다. 나중에는 이 것은 픽션일까 아닐까 하는 의문마저 사라지고 차라리 맘편히 주인공이 이름도 마광수요, 그가 하는 말은 마광수가 아닌 '인물 마광수'의 이야기라고 남은 의심마저 버려지게 된다. 우습게도 이렇게 다 놓은 상태에서야 비로소 소설로서의 세월과 강물의 맛이 느껴졌다. 기자도 아닌 내가 왜 픽션여부를 논하며 힘겹게 읽으려고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읽다보니 저자의 생각처럼 독자인 나 역시 어떤 목적이나 계획을 사는 것이 아니라 게으르고 기왕이면 내가 하고자 하는 것에 충실한 상태로 마음편하게 받아들이는 것, 구분짓지 않는 그 상태가 되어갔다.


어린 시절 부터 최근에 세월과 강물을 쓰기까지의 여정을 담은 책의 결말에 해당되는 판타지로 도피하여에서의 공주 '사라'와의 만남을 통해 아직까지도 픽션과 논픽션 사이에서 헷갈려하던 독자들마저 미련을 늦추거나 오히려 이전의 이야기 모두가 사실이고 이 사실을 소설인척 하기 위해 심어둔 장치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즐거운 사라를 난 읽어본적이없다. 마광수의 작품은 전부 법이 단죄할 정도로 저속하고 야하다고만 생각해왔다. 어느정도 수위가 조절 되었겠지만 이전에 읽었던 책들과 비교했을 때 어떻다고 말하자니 조심스러워진다. 왜냐면 마광수 소설을 좋게 평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짜피 타인의 평 따위는 안중에도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다만 한 가지 말하고 싶은 것은 더이상 즐거운사라 안에 마광수라는 작가가 갇혀 지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사실이다. 그 속에 갇혀 있기에 그의 이야기는 지나치게 담백하고 겸손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p.47
여러 시련을 겪을 때마다 내가 다행스럽다고 생각한 것은, 그래도 어쨌든 세월은 강물과같이 쉼없이 흘러간다는 사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