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버먼의 자본론 - 과연, 자본주의의 종말은 오는가
리오 휴버먼 지음, 김영배 옮김 / 어바웃어북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경제학이나 사회학을 전공으로 한 사람들이라면 몰라도 대게의 경우 미국을 포함 선진국은 자본주의이고 이미 체제가 변경되거나 소멸, 혹은 나라에 反하는 경제이론이 사회주의라고 아는 경우가 많다. 나 역시 명확하게 사회주의에 대해 알지 못했고 행인지 불행인지 좋고 나쁨도 없었다. 그저 아직까지 관련 마르크스를 비롯 사회주의 자들의 원서를 대출했을 경우 미국의 도서관에서는 그 대출기록이 남겨진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쉽게 말해 알려고 하기보다는 그저 자본주의와는 모든 것이 반대, 내 노동력과는 별개로 균등한 분배로 이어지며 그 속에서도 엄연히 불평등이 존재하는 이론이라고 생각했다. 어떤 명제나 이론에 있어 알면서 반대하는 것과 모르면서 반대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그런점에서 휴버먼의 자본론은 반드시 관련 학문의 입문서적으로 봐 둘 필요가 있다고 느껴진다. 저자 역시 서문과 후기에 밝히는 것처럼 이 책은 전문가를 위한 어렵고 골치아픈 서적이 아니라 비전문가, 이론에 대해 좀 더 쉽고 명확하게 알려는 초보자들을 위한 책이다.
 

우선 저자가 사회주의에 대해 말하는 바를 자본주의 서적이나 해당 시대의 자본주의자들의 연설 등을 통해 보수주의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했다는 것이 주목할 점이다. 이것은 자본가들 스스로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불합리와 잘못된 상황을 인정하는 셈이다. 자본주의로 대표되는 나라인 미국의 4대 대통령 조차 심각할 만큼 급격하게 차이가 벌어지는 분배에 관해 이야기 했다. 19의 챕터로 나누어 자본주의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체적인 맥락은 아주 간단하다. 자본가와 노동계급의 합일화 될 수 없는 입장과 의견차이인 것이다. 자본가는 권력과 부를 최소한의 투자로 극대화 시키길 원한다. 반대로 노동계급은 더 많은 임금과 보장내역이 더 많아지길 바라기 때문에 양측간의 대립은 심화된다. 노동계급을 이용하여 이윤을 남기는 자본가들의 부가 축적될 수록 생산하는 노동계급의 경제사정도 좋아져야 하는데 오히려 더 나빠지는 것 때문에 자본주의는 끊임없이 문제를 낳게 되는 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자신이 자본가 계층인지 노동계층인지, 혹은 중간 계층이라도 되는지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사항들이 등장한다. 그럴 때마다 좌절하게 된다. 사회주의에 항변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본가들에 대한 사실적인 상황고백을 통한 것이라 그 좌절은 더욱더 쓸 수 밖에 없다. 그것도 경제서적이나 관련 회의를 통해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출판되는 인문학자들의 시, 희극배우의 드라마 속에서도 여실히 자본주의의 폐해를 보여준다. 물론 자본주의가 그렇다고 해서 완벽하게 잘못된 이론이고 그에 반하는 것이 반드시 사회주의는 아니다. 이상적 사회주의의 경우도 몽상가들에 유토피아에 지나지 않았다. 때문에 우리가 정확하게 알아야 할 것은 '과학적 사회주의'에 대한 부분이다. 바로 과학적 사회주의에 대한 입장에서 비판한 자본주의에 대한 내용이 바로 이 책안에 들어있는 것이다.

 

책을 통해 과학적사회주의를 통한 자본주의를 분석할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된 이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조건적인 자본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반대로 사회주의자들의 추종도 아니다. 제대로 알고 비판하는 것, 그리고 현명하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속에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저자가 진정원하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책을 저술한 까닭이 아닐까 싶다.

 



 

p.26 칼샌드버그<민중이여, 그렇다> 인용

 

"나는 그 사람을 해고했지.

그가  싫었기 때문이 아니라

나한테 그런 권한이 있었기 때문이지."

 

 -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