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중국을 말하다 - 위기론과 불패론 사이에서
랑셴핑 지음, 차혜정 옮김 / 한빛비즈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중국의 경제학자 랑셴핑이 1년도 지나지 않아 중국경제에 대한 쓴소리를 담은 책을 출간했다. 책 '부자중국, 가난한 중국인'도 흥미롭게 읽었기에 이번 '새로운 중국을 말하다'역시 읽기 전부터 기대가 컸다. 무엇보다 이전 작품에서는 중국경제에 대한 잘못된 관습과 그로인해 중국인들이 겪는 고통스런 생활고를 집중적으로 다룬 터라 그동안 가지고 있었던 중국에 대한 반감이 중국민족에 까지 이입되고 있던 오해를 풀 수 있었던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했기에 이번책에서는 어떤 오해를 풀어줄런지 몹시 궁금했다.

랑셴핑의 저서가 중국경제를 다룬 다른 책들보다 더 많이 호응을 받는 까닭은 아마도 그가 서구 유학파 출신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왜냐면 중국이 지금처럼 규모적으로는 거대하지만 국민들 자체의 소비생활이 조금도 나아지지 않는 것은 유럽과 미국의 손에 휘둘리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시점에서도 중국의 경제를 분석 할 줄 아는 학자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책에서 적은 것처럼 미국경제에 대량납품을 위해 3D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체 밤낮으로 저임금을 견뎌가며 노동을 하는 것은 중국인이다. 나이키를 생산하는 중국공장에서 브랜드를 탈부착 했을 때의 가격차이는 하늘과 땅차이다. 정작 본인이 만든 제품을 매장에서 구매하려고 할 때 자신이 받은 임금과 맞먹는 돈을 지불해야 살 수 있는 잘못된 경제생태를 이번에도 따끔하게 꼬집고 있다.

이전의 책에서 그의 충고나 대안이 실질적이지 못했다고 느꼈는데 그것은 시장경제가 반드시 이론적으로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책, 새로운 중국을 말하다에서는 그점을 정치적인 문제로 다가갔다. 사회주의 아래 소비를 할 수 있는 계층은 한정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서구의 생산업체로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에 적신호가 켜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막기위해 가장 중요한것은 생산-제조업에 국한 된 지금의 시스템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아무리 나이카 제조공장이 중국에 있고 모든 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되어도 브랜드의 부착여부에 따른 차이가 바로 현재 중국의 경제를 단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저자의 말처럼 스페인의 ZARA와 같은 혁신이 필요한 것이다. 더이상 짝퉁경제의 대표주자가 아니라 브랜드와 부가가치 성장으로 경제가 안정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중국에 대한 관심, 특히 식품파동을 비롯 최근까지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사고와 관련 경제학적인 부분에서 관심이 많은 이들이라면 랑셴핑의 시선으로 '새로운 중국을 말하다'의 시원시원한 경제학 한권이 꼭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