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중국 가난한 중국인 - 중국인의 삶은 왜 여전히 고달픈가
랑셴핑 지음, 이지은 옮김 / 미래의창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부자중국 가난한 중국인.

책을 읽기전 내가 알고 느끼고 있는 중국이란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생각해본다. 전통적인 유교의 나라이고 세계에 손꼽히는 넓은 대지와 자원을 가진 나라. 인력시장이 크고 저렴한 나라. 몇 해전부터 기이한 성장을 통해 땅덩어리만 큰게 아니라 가능성이 엄청난 나라이자 빈부의 차가 한국보다 더 큰 나라. 하지만 예부터 민중의 궐기로 정권이 갈렸던 자유 아닌 자유의 몸부림이 존재하는 나라, 이 정도가 내가 알고 있는 중국 이었다. 이 책을 읽기 전 류사오보의 '중국을 말하다'를 신간소개 코너에서 잠깐 보게 되었는데 류사오보가 말하는 중국 또한 이 책의 저자 랑셴핑이 보고 있는 중국의 모습은 비슷해 보였다. 세계에서 손 꼽히는 두 학자 눈에 비친 어두운 이면의 나라 중국을 말해본다.

 

멜라닌 분유를 시작, 쓰레기 만두등으로 인한 중국의 비인간적인 생산윤리를 보면서 한 때는 중국은 무조건 다 비윤리적인 기업만 존재한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중국의 여러기업중 일부 기업의 잘못된 행태로 마치 그 나라 전체가 잘 못되어 가고 있다는 심각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중국인 국민들도 그런 기업들이 두렵고 싫기는 우리와 마찬가지라는 거다. 저자는 어찌해서 그런 식품들이 생산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다양한 표를 통해 알려주고 있다. 뿐만아니라 제시하는 자료(그래프, 통계수치 등)가 2010년 까지등 최근의 자료가 많아 중국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해외에서 공부를 했었기에 이웃나라 일본의 좋은 사례도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역시나 일본의 사례를 우리가 부러워만 하지 현실에서 적용할 수 없는 것처럼 중국의 잘못된 경제시스템에 대한 아쉬움을 저자 역시 잘 알고 있었다. 중국기업의 잘못된 관행과 읽으면서도 당혹스러웠던 말도 안되는 제도들로 기업은 바른 생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워 보였다. 기업이 제대로 서지 않았기에 개인이 떠안는 부담이 바로 빈부의 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대한 안좋은 오해와 편견들이 책을 읽기전에는 서두에 밝힌 것처럼 상당했었다. 중국이라는 나라는 나와 친해질 수 없는 나라라고 생각하며 주변에 중국어를 잘하는 지인들에게 부러움반 나와는 다르다는 부분적인 소외감 또한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중국도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모두가 경제적으로 행복하게 잘 살고 싶은 나라인것이다. 다만 기득권층에 잘못된 제도와 인식이 바껴야 해결되는 문제들의 대한 실질적인 대응방식에 대한 견해가 다소 아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