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신을 흔들다 - SHAKESPERE SHAKES PERE
오순정 지음 / 매직하우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 신을 흔들다. 영문학을 전공했기에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물론 관련 논문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 때문에 이책이 문학이론서 였다던가 관련 평론가에 의한 저술이었다면 별로 읽고자 하는 맘이 들지 않았을 것 같다. 저자 오순정은 회계사다. 셰익스피어와 만남의 시작도 '세금밥상'이라는 문학과 관련없는 책을 저술할 때였다니 시도가 참신하고 색달라 읽고 싶어졌다. 뿐만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넓게 포진하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다양한 영향력을 전문가의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책의 서두는 이 책이 앞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말해주고 있다. 우선 셰익스피어라는 이름에 대한 의견과 그의 묘비명에 새겨진 의미를 단순히 무덤을 파헤치려는 자의 대한 경고가 아닌 신이 아닌 '교회'라는 또다른 우상을 숭배하는 자들을 일깨우려는 데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과연 '뱀'의 존재는 인간을 타락시키게 만든 주범인지 아니면 '신'과 대등하게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인도자였는지 베이컨의 우상의 빗대어 4대 비극을 통해 나타난 5개의 돈과 명예등의 우상심리가 인간에게 주는 악영향에 5개의 그릇된 우상을 제1장 틀을 제외한 나머지 5장에서 각각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돈, 땅,섹스,명예, 권력이 그러하다.

 

2장은 돈에 관련된 부분을 작품 베니스의 상인에서의 안토니오와 샤일록(고리대금업자)의 관계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의 세계에서는 당연했던 '보상'이며 '이윤'이었던 정당한 댓가가 상황에 따른 이분법적인 평가를 꼬집고 있다. 3장은 작품 리어왕을 통해 땅의 대한 잘못된 우상을 그리고 있으며 4,5,6장은 햄릿, 오셀로, 맥베스를 통해 나머지 우상에 대한그릇됨을 지적하고 셰익스피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알려주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셰익스피어의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이 곳곳에 인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그의 작품을 읽었던 경우 이해가 쉬울 것 같다. 때문에 셰익스피어 자체에 대한 호기심으로 읽으려는 독자에게는 다소 난해하며 공감을 받아내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저자 나름은 증명된 사실을 가지고 추론을 하고 있지만 셰익스피어가 작품을 만들어낸 배경이 인간의 삶을 신만이 아닌 인간도 '관객'으로서 접할 수 있게 하려던 것에 초점을 두자면 지나친 비평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에필로그에 밝힌 것처럼 인간이 저마다 세운 잘못된 '우상'을 내려놓아야 함을 주장하는데 있어서는 크게 동감한다.

 

'우상이란, 다름 아닌 '거짓'을 말하는 것이었음을 말이다.'

에필로그 中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