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 세계문학의 숲 3
토머스 드 퀸시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약은 커녕 환각제와 비슷한 약품을 다행스럽게도 사는 동안 만나본 적이 없었기에 일단 장르가 에세이든 소설이든 애초에 저자가 느꼈던 환희와 고통의 일부에 동조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없이 낭만파 토머스 드 퀸시라는 저자의 작품이기에 읽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좀더 솔직해 지자면 유별난 연애사로 알려진 베릴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의 영감이 되었다니 일단은 읽어야 한다. 베릴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을 들어본 이들은 알것이다. 마약을 경험하진 않았지만 그것이 달콤함과 동시에 쓰린 아픔을 주는 사랑과 닮았다는 것을 안 이상 '환상교향곡'의 음악은 사랑의 시작과 끝을, 그리고 그 이후에 오게되는 참혹한 자기연민을 제대로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활자로 된 이 작품에서 감정 하나하나를 세밀하게 건드려 줄 수 있을거란 기대, 그래 그 기대는 분명 있었던 것 같다.

 

적당하게 가라앉은 분위기에서 시작될 거란 예감은 정확하게 빗나갔다. 작품은 근래에 발표되었던 여러 작품과 특정인물을 떠올리게 되었는데 1부 예비고백 부분에서의 중심이 되는 토머스 드 퀸시가 후견인들과 학교에서 벗어나 가난하지만 그가 택한 '거리'로 나오는 과정인데 꽤 흥미롭고 재밌다. 영화 천국의 속삭임의 마르코가 생각났다. 타인의 눈에는 암담하고 우울한 현실이지만 마르코가 '음악'을 통해 희망까지는 아니더라도 '삶의 즐거움, 희노애락'을 알아가듯 토머스 역시 가난하고 당장의 허기에 힘겨웠지만 '앤'을 만나는 등의 다양한 감정과 관계를 체험하는 모습이 그랬다.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시작된 아편생활로 인한 환희와 고통, 즉 서명에서 보여주는 영국인 아편쟁이의 삶이 그대로 담겨져 있다. 누구의 말처럼 고통보다는 아편을 통한 희열과 쾌락적인 부분이 더 잘 드러나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쩌면 죽음에 이르는 그 고통이 다가오는 줄알면서도 놓을 수 없는 아편의 중독성을 제대로 보여준 것이 아닌가 싶다. 이제는 완전하게 끝을 낸 듯한 김태원씨가 최근에 방송에서 했던 말이 떠올랐다. 대마초로 인한 피해와 주변상황에 대한 상처가 컸을 때 비로소 명곡이 탄생했을진 몰라도 또다시 그렇게 해서 명곡을 만들고 싶지는 않다고 했다. 어떤이는 그의 고백을 반성문으로 읽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혹은 마약때문에 그가 작가로서의 필력을 얻게 된거라고 생각할수도 있겠다. 내가 느낀 바는 아편은 그의 삶을 단축시키고 특별하게 만들어 주었을런지는 모른다. 하지만 분명 그 이상의 고통으로 미래와 안정적인 현실을 뒤바꾼것이라 생각된다.

 

책에는 다양한 작품이 장르 구분없이 등장한다. 그가 좋아했던 워즈워스의 시를 인용하는 것은 물론 밀턴의 실낙원의 나오는 대사를 패러디 하는등 책을 덮고나서 읽어야 할 고전, 들어야 할 음악, 그리고 읽었던 것들에 대한 재 확인이 필요해졌다. 무엇보다 각 작품과 저자들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다룬 거울위의 작가들이란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증폭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하지 않았나 싶다. 마치 토머스 드 퀸시가 그러했듯 나역시 여러 작품을 읽고 내 방식대로의 변주를 하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