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 대유행으로 가는 어떤 계산법
배영익 지음 / 스크린셀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염병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에 앞서 출판사 스크린셀러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해야 할 것 같다.
스크린셀러란 영화의 스크린과 베스트셀러의 셀러를 합성한 영화의 원작소설을 말한다. 고로 지나치게 지루하고 덤덤한 소설읽기가 맘에 들지 않았던 영화광들도 마치 장르소설을 보듯 머릿속에 활자보다 더 빠른 속도로 피어나는 영상을 떠올리며 볼 수 있는 소설이라 리뷰에 연연하기 보다는 직접 읽어보길 권한다.

영웅이 사라진 사회.
전염병에 등장하는 인물은 '영웅'이 아니다.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하는 순간 인간의 감정을 다루는 뇌기관이 손상되어 이기적이며 상대를 향한 방어기제가 전혀 작동하지 않아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를 그렸지만 어쩌면 그것은 바이러스가 없는 지금 우리사회의 어두운 면을 보는 것과 같다. 차라리 바이러스에라도 걸린거라면 동정이라도 받고 그들을 처단함에 있어 죄책감이라도 들텐데 현실은 그렇지 않아 씁쓸하다. 영웅이 없기에 모두가 영웅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체 입국, 이 모든 사고의 원인이 된 어기영 역시 충분히 영웅이 될만한 소지가 있었다. 하지만 그는 자유롭고 싶었다. 남들 다가는 군대를 가지 못한 댓가로 배라도 타겠다고 나갔을 만큼 그는 '보통사람'이고 싶었다. 때문에 처음부터 그는 영웅과 어울리지 않았는지 모른다. 하지만 정작 영웅이 되고 싶었던 '최수철 교수'는 영웅이 되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기억에 남는 악당이 되고자 했고 '성과'를 이뤘다. 마치 최신 개봉작 메가마인드에서 초능력대신 비상한 머리로 악당되어 관심을 받으려고 했던 메가마인드처럼. 순수한 의미로 영웅을 원했던 사람도, 영웅이 된 사람도 없었다. 얼핏 보면 바이러스의 백신(어떤 의미에서는 백신이라고 보기도 어렵지만)을 투병상태에서 개발한 윤규진이 영웅 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 역시 이미 최수철의 농간으로 영웅의 자격을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나라의 안녕보다는 일단 내 아이의 생명이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 초현실적인 힘을 발휘하며 딸아이의 생명을 구해보려 했던 그에게 장한 아버지상은 수여할 수 있을진 몰라도 영웅에서는 한참 멀어져 버린거다.

그렇다면 가족은 존재하는 사회인가.
바이러스에 걸린 큰아이의 생명을 며칠 연장하기 위해 인공호흡을 하면 바로 간염될줄 알면서도 구조대원을 말리지 않았던 박주희. 죄책감으로 자신의 백신을 구조대원에게 전달, 그를 살리진 못했어도 국민을 살리는 데 기여했기에 영웅은 아니더라도 윤규진이 국민전체와 딸아이를 맞바꾼 것 처럼 부모의 입장에서 보자면 가족애는 살아있는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가족애라고 보자니 이건 지극히 이기적인 발상으로 보여진다. 당장 내가족만 보호하려고 한다면 세상은 가족이 남는 다기 보다는 '나'혼자 살아남게 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소설에서는 결국 영웅도 가족도 남아있지 않을 것 같은 비극적인 모습만이 들어왔다. 결말이야 운좋게 백신을 발견, 나라를 살리고 동시에 전세계 인류를 구원할 수 있는 희망적이지만 그속에 이유도 모른체 죽어간 사람과 그의 가정, 사회는 어쩔 수 없는 희생양이 되어버린거다.
작품을 읽으면서 자문하게 되는 가장 많은 질문이 '나라면 어떻게 할까?'일 것이다. 내가 어기영이었다면, 윤규진이었다면, 혹은 박주희? 최수철이었다면 이란 질문에 어떤 대답도 그들과 다르게 한 적이 없었다. 가정으로 판단한 것이니 난 지금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도 아닌데 말이다. 결국 내가 이기적이기 때문인거다. 이기적인 인류, 그 인류의 종말을 예고하는 작품이 바로 전염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앓는 건 지구가 아니라 인류였다. 전 인류가 남김없이 쓰러지더라도 행성은 변함없이 빛나리라.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