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체스터 이야기 - 모든 상처가 치유되는 곳
신인철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유란 무얼까.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것? 악화된 상태를 나아지게 하는 것? 보통의 날을 행복의 날로 바꿔주는 것?

사전적인 의미를 몰라 자문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내게 있어 치유란 무엇이길래 이토록 치유에 관한 서적에 목메는지 자답해야 할 시점이 왔기 때문이다. 모든 상처가 치유되는 곳이란 부제는 그야말로 지나치게 자화자찬이라고 느꼈다. 세상에 그 많은 상처를 어떻게 다 치유시키겠다는 것인지 그야말로 코웃음을 쳤다. 여기서 중요한 것. 세상의 모든 상처를 치유할 순 없을지 몰라도 레이체스터 병원으로 온 이상, 그곳의 환자가 된 누구라도 치유를 받게되는 것은 분명하다는 것이다. 지금 마음의 상처가 있는 사람들이라면 우리 동네에는 왜 레이체스터 병원이 없는가 둘러보며 아쉬워할 필욘 없다. 책을 읽다보면 우리도 그곳에 입원한 환자와 다를바 없이 똑같이 치유되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총 7개의 처방전으로 나뉜다. 처음부터 끝까지 레이체스터, 즉 이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세상의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을 치유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명제를 이해하고 받아들인다면 이 책을 읽을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럴 수 없기에 이 책이 필요한 것이다. 타인이 나의 상처를 치유한다고? 의학박사도 아닌 그저 우리의 이웃일 뿐인그가? 혹은 내가 그토록 벗어나고싶어했던 가난에서 완벽하게 해방되어 있지 않은 그 사람이? 라는 의문을 작가는 레이체스터 병원을 통해 독자에게 깨달음을 전달한다. 흔히 우리는 무언가 완벽한 사람만이 우리에게 충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보잘것없어 보이는 주변인이 충고하면 '너나 잘해!'라고 소리치며 화부터 낸다. 그의 인생이 현재 이뤄놓은 물질적인 지위와 명예로 판단되어 그가 느끼는 행복따위는 안중에도 없기 때문이다.

 

아마 책을 읽으면서 누군가는 받을만한 처방전이 없다거나 전혀 아픈곳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역시 특별하게 치유를 받아야 한다라기 보다는 좀 더 나아지기 위한 내 행복을 객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어리석은 이유로 책을 읽었으니까. 레이체스터 이야기는 어찌보면 단순한 우화같은 이야기이다. 하지만 지인에게 꼭 추천해주고 싶은 그래서 타인의 이야기를 듣는 것과 상대를 평가하려고 하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사람을 만나려고 하는 '인맥관리'를 하려는 이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하고픈 도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