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는 것의 기술
하타무라 요타로 지음, 황소연 옮김 / 가디언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안다는 것의 기술

안다는 것의 기술… 이 책의 원제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기술’ 이라면 우리나라 말로 동음 이의어가 되어 두 가지의 뜻을 가지는 단어가 있기 때문이다.
기술(技術)과 기술(記述)

나도 저자가 적극 추천하는 내용 중 하나인 지식의 템플릿을 가동 시키면서 알아가는 과정을 중요시하고 그렇게 차곡차곡 제대로 이해하며 알아가는 것이 정말로 나의 것이 되는 지식이라고 믿는 사람중의 하나이다.

기술? 요즈음 많이 나오는 지침서 같은 “ㅇㅇ을 위해 익혀야 할 ㅇㅇ기술(技術)” 아니면 서술의… 기술(記述). 제목을 읽고 나는 호기심이 발동한다. 저자는 어떤 말을 하고 싶은 걸까?
여기서부터 시작하여 이 책을 만나본다.
 
오롯한 나의 지식이 될 수 있게 하는 과정 중 첫 번째는 어떤 현상에 대한 정의나 원리라는 것에 대하여 의구심을 품어보기!!! 
 역사 속 누군가가 어떤 것에 대한 의구심을 품고 직접 그것에 대한 과제를 만들어 갖은 노력을 통하여 알아낸 것, 그래서 그 다음의 사람들은 적어도 그 알아낸 정의에 대해서는 다시금 과제를 풀지 않고 그 과제 해결에 대한 결과 만을 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모든 것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물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또 다른 과제를 찾아내고 해결을 하는 데에 이미 밝혀진 정의를 그대로 받아 들인다면 수고는 덜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과제를 스스로 찾아내고 해결 하려는 사람은 이미 기존의 정의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학습하고 암기하여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학생이 사회에 나와서도 높은 점수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개성을 중시하고 창의성을 중요시 하는 현대인에게 요구되는 지식이라는 것은 지금까지 인류가 이룩해놓은 결과만을 암기 하고 안다고 해서 높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는 지금까지의 학습방법이 모두 틀렸다고는 하지 않는다. 오히려 진정으로 이해하고 안다고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고 저자는 이야기 하고 있다. 평소 어떠한 현상에 대하여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자세를 취하며 호기심을 갖고 기존에 이해하고 안다고 할 수 있는 배경 지식을 토대로 본인의 호기심을 해결하라는 것이다.
 매사에 능동적인 자제를 갖고 호기심을 갖는 자는 그 호기심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어있다. 이때에 그 해결을 효과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방법 또한 저자는 제시 하고 있다.  알고 있다고 하는 지식을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설명하는 데 에는 제대로 된 언어의 필요성, 그림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식의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 이해한 지식의 노트 방법을 저자의 개인적인 친필 노트를 예로 수록하여 소개해 주고 있다.
 
 무엇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서술(記述) 그리고 이 시대를 살아 가는 데에 절실히 필요로 하는 안다고 하는 것의 힘(技術), 저자는 두 가지의 기술을 모두 이야기 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호기심을 갖고 스스로 과제를 만들고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실패 또한 진정한 앎으로 가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 또한 다시금 생각 하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