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르발 남작의 성
최제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퀴르발 남작의성은 최제훈의 단편모음집이다. 책을 읽을 때 긴호흡으로 이어지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스릴러류가 대부분인 퀴르발 남작의 성은 추천해줄 만한 작품이다.

특히 다양한 구성으로의 시도는 소설은 지루한데 잡지의 기고문은 재미있다거나 모든 잡지를

경멸하는 뒤틀린 지식층에게는 논문식 구성을 갖춘 작품도 있어 별 희안한 독서광일지라도 이 소설은

 일단 재밌다고 느껴질 수 밖에 없다.

 

#1.서명이기도 한 첫번째 단편 소설 퀴르발 남작의 성.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가난한 집 영유아를

하인으로 사들여 요리의 재료로 사용한다는 괴기스런 구전동화를 듣고 자란 작가가 쓴 시나리오가

후대에 일본 감독에 의해 리메이크 되고, 그 영화를 본 영국인 부부가 실제 모방살인을 일으키는 등의

이야기를 묶은 내용이다. 시선을 끌만한 제목으로 채택될 만은 한데 실질적으로 다소 아쉬운 면이 많이

남는다. 그또한 실력이라면 실력일테지만 지나치게 짜집기한듯한 느낌이 강해 픽션이라기 보다는

스크랩을 보는 듯해 긴장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로 이어진 셜록 홈즈의 숨겨진 사건은 개인적인 취향이긴 한데 홈즈를 포함 마치 사건을 자신의 추리

안에 끼어맞추는듯한 방식이 맘에 들지 않았는데 작가는 그 점을 정확하게 꼬집어 냈다. 홈즈의 추리

방식이 때로는 틀릴 수 있다는 것, 무엇보다 추리작가들의 비애라면 비애인 인물을 만들어낸 작가보다

오히려 주인공의 이름이 더 알려져 주객이 바뀌는 것에 대한 서글픔을 그렸다.

#2 홈즈 이후 그녀의 매듭, 그림자박제는 일반적인 소설형식을 띈 작품들이라 일단은 읽기가 편했다.

무엇보다 그림자박제같은 경우는 다중인격을 가진 주인공-화자가 모노드라마처럼 사건의 전후를

이야기 하는 내용으로 소름돋을 만큼 맘에드는 작품이다. 처음부터 다중인격이었다기 보다는 스스로가

만든 또하나의 인격이 결국 자신을 흡수해 가는 섬짓한 느낌. 연필을 책상으로 부르는 남자 라는

작품이 생각났다. '외로움', 정말이지 무서운 감정인건 사실이다.


#마녀의 스트레오타입에 대한 고찰, 괴물을 위한 변명.

중간에 마리아, 그런데 말이야는 작가 최제훈이 독특한 구성, 호러나 추리물 장르작가, 기존의 작품을

비트는데 능통한 작가라는 선입견을 벗어던지는 작품이라고 본다. 아내의 부정으로 이혼한 남자와

결혼을 앞둔 학교후배와의 만남을 통해 서로 금기시 해야하는 '결혼'이라는 주제를 벗어나 그들, 혹은

낯선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대화방식, 누구누구는 말이야~의 대한 이야기.


# 쉿, 당신이 책장을 덮은 후...는 토이스토리를 생각나게 한다. 아이가 방에서 나가거나 잠이 들면

장난감들은 자신의 의지로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등장했던 단편의 인물들이 전부 한방에

모여 사라진 시체조각을 맞춰가며 자신의 성격을 다시금 독자에게 각인시켜준다. 마치 이야기속의

모든 인물들이 우리주변에 살아 숨쉬는것 처럼 느껴지게 말이다.

퀴르발 남작의성은 재미난 소설이다. 굳이 어느장소나 상황이 필요없이 그때그때 생각을 정리하거나

깨우칠 수 있는 사고방식, 작가 최제훈의 데뷔작품과 앞으로의 작품이 기대되는 추천할 만한 서적임

에는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