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라이팅클럽

글은 아무나 쓸 수 있는것인가.

책을 읽으면서 뒤로 갈수록 몰입하게 만드는 것은 대부분 추리물이나 호러물이었다.추리물일 경우 그래서 범인이 누군데? 미리 범인을 밝힌 소설이면 왜그런건데? 잡히기는 하나등의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후반으로 갈 수록 몰입했다. 호러물인 경우는 '주인공이 죽는가? 살아남느냐?' or '얼마나 더 잔인할 수 있는가'의 궁금증 해소를 위한 몰입이었다. 어느덧 나이가 서른이 넘고보니 위의 분야를 제외하고는 소설을 읽으면서 독하게 몰입했던 적은 없는 것 같다. 그러던 차에 라이팅클럽은 마지막 비평가의 비평글마저 나를 조금도 놓아주지 않고 처음 읽었던 침대위에서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까지 붙잡아두었다. 화자인 영인과 모성을 상실한 그의 모친 김작가의 등단여부가 궁금해서도 아니었다. 과연 나는 글을 쓸 수 있는가의 대답을 듣고자 함이었다. 문예창작을 돈주고 배우지 않고 제대로 한권의 습작을 어디에 내보이지 않고 평가받으려는 나약하고 치사한 독자가 비단 나하나뿐이진 않을거란 생각이 있었던거다.

 

영인은 어린시절 조부모댁에 머물다가 김작가와 동거를 시작한다. 조부모님댁에 있을 때는 가정부 노릇은 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맘속에 차갑고도 쉼없이 흐르던 '강'만큼은 떨쳐내지 못했었기에 김자가와의 동거고 싫지도 좋지도 않았다. 물론 영인은 어떻게든 그녀와의 동거를 끝내고 싶어했지만 강의 존재를 잊고 살았던것은 차후에 깨닫게 되었을지언정 말이다. 영인의 글쓰기는 그의 돌파구였다. 노동에 대한 착취한 불합리함이 중심으로 드러나진 않았어도 곁에서 떠나지 않았을 만큼 그녀에게 노동서는 첫 동거인B와의 만남을 연결지었고 시시때때로 위로아닌, 탈출아닌 탈출구로서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김작가의 탈출구가 영인의 눈에는 '쓰레기의 생산소'였던 계동글쓰기 모임이었던 것처럼.

 

작품에 몰입할 수 있었던 것은 앞서 말한 이유도 있지만 줄기차게 등장하는 '계동'이란 지역을 진저리나게 잘 알았던 까닭인지도 모른다. 관광지가 되고 책속에 등장하고 동화속 삶을 버리지도 못하면서 도심에서 떠날 생각조차 하지 않는 상반된 개념을 가진 도시인들의 쉼터와 로망이 된 북촌, 계동에서 직장생활을 할 때는 나역시 벗어나고팠던 곳이다. 탄생 당시에는 고단한 타이피스트의 생계수단이었던 타자기가 긴 시간이 흐르지 않은 지금 엔틱소품으로 거듭나 고가에 팔려나가듯 그곳에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대신 인간의 아둔함이 깔려있다고 믿고 있다. 그아둔함이 친숙이란 겉옷을 입고 있는 까닭에 나역시 이따금 그주변을 맴돌고 때때로 위로를 받기도 한다. 그런 지역적 특색을 갖춘 곳의 글짓기 모임은 영인에게 모성의 유무를 떠나서 김작가의 존재와 맞물려 '뮤즈'의 역할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본다. 거기에 쉽게 만날 수 있지만 관계를 갖긴 어려운 'K', 'R'이라는 인물과의 인연은 그 어떤 것보다 김작가의 혈육으로서의 '닮음'을 나타내주지 않았나 싶다.

 

라이팅클럽은 읽으면서 독자의 세계를 계속 뒤죽박죽 헝클어놓는 소설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늘 무언가 써보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에 한해서라고 전제를 달고 싶다. 특히나 자기의 얘기를 풀어놓으면 '전집' 수십권은 나온다고 자부하는 굴곡진 우리네들에게는 더더욱 그렇다. 소설은 재밌어야 하고 작가의 감정만으로도, 현실묘사, 어루만짐으로도 완성될 수 없다. 그렇다고 뚜렷하게 어떤 패턴을 가진 것도 아니다. 때문에 꾸준히 글로써 밥벌이를 하는 이들이 내눈에는 미장이, 대장장이처럼 꾸준한 노력이나 습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의 '운명'을 가진 존재라고 생각된다. 물론 아닌듯한 경우도 보이지만. 결국 쓰던 말던 결론은 하나다. 내 마음이 가는대로. 그뿐이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