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겨울이 온다 - 극한기후시대를 건너는 우리가 마주할 풍경
정수종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는 낫지 않는 독감에 걸렸다
정신을 차려보니 내가 걸린 독감의 증상이 지구의 증상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물이 지독하게 마르고 고온에 시달리는 지구의 증상은 독감과 비슷하다. 57-58쪽

기후와 관련된 책을 최근 자주 찾아 읽게 되는데 가독성이나 내용의 우위를 논하는 것은 현재 상황에서 큰 의미가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연에서 보내는 신호를 얼마나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알아차리는 데에 있다고 본다. 정수종 기후과학자의 <붉은 겨울이 온다>를 읽으면서 마음이 더 아련해지는 까닭은 '가을 다운 가을'과 그토록 사랑하는 눈을 어쩌면 미래에는 제한적인 지역에서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푸른 잎과 단풍을 동시에 마주쳤던 날, 사진으로 담았다. 신기한 마음이 더 컸었는데 막상 그렇게 된 이유를 책에서 마주하니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니었다. 나무가 인지하는 추위, 냉방도일은 기온이 하강하면 광합성을 멈추고 색을 변화할 수 있게 만드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그 시기가 이전과 달리 안정적이지 못하다보니 나무의 생체시계가 고장났기 때문이다. 산불이 발생했을 때 심각해지는 까닭도 기후변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지구의 수분은 일정량을 유지하는 데 강물, 바다, 얼음 등으로 형태는 다르다. 다만 기온이 상승하면서 기체화되어 땅이 마르게 되고 그렇게 되면 작은 불씨에도 엄청나게 번질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나무가 타버리면 탄소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자연이 흡수할 수 있는 양과 배출양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 그루의 나무라도 잘 보살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 최근에 본 영화 <어쩔수가 없다>의 엔딩은 기계에 의해 마치 학살처럼 보이는 벌목 현장을 담겨 있었다. 실제 살인이 일어나는 장면보다 엔딩이 더 기억에 남았던 까닭은 아마도 <붉은 겨울이 온다>를 읽었기 때문이지 싶다. 여기서 간과하면 안되는 사실은 우리가 탄소를 줄이는 방식으로 나아간다고 해도 당장 해결되는 것은 아니란 부분이었다. 저자는 이를 라면을 끓였던 냄비에 비유하였다. 냄비를 가열하던 열원이 정지된다고 바로 냄비가 차갑게 식지는 않는다. 그렇기때문에 지금 당장, 무엇부터 실천해야할까. 국가의 정책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문화를 바꾸는 일 부터가 그 시작이다.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한 사회집단의 삶의 양식을 결정하는 모든 분야가 전환되어 궁극적으로 그 사회 고유의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 역사에는 세상을 바꾼 많은 혁명이 일어났다. 지금 지구의 모든 인류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문화혁명이다. 193쪽

저자는 서울의 궁궐 내 도시숲이 어느 정도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지를 계산한 적이 있다고 한다. 예상보다 그 양이 적지 않아 놀랐다고 했다. 당장 아이를 위한 나무 관련 서적을 찾아보더라도 '궁궐내의 나무 혹은 정원'과 관련된 도서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앞서 짧게 언급한 것처럼 탄소가 전적으로 해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중립을 잘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기후변화에 있어서 핵심인 탄소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카본테크를 활성화 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카본테크는 말 그대로 탄소를 직접 다루는 기술이다.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도록 막거나, 이미 배출된 탄소를 회수해서 없애거나 활용하는 기술에 기반한 산업기술이다. 225쪽

문화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궁궐의 나무 그리고 카본테크로 넘어오기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는 것처럼 느껴질지 모른다. 하지만 궁궐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탄소 흡수원을 찾는 것이나 카본테크와 관련된 기업을 선호하는 일 등은 충분히 실천가능한 이야기다. 나아가 푸드테크와 관련하여 음식 포장용기를 덜 사용하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 하는 것 역시 우리가 당장 할 수 있으며 해야하는 일이라고 느꼈다. 아이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이 겨울인 이유는 눈이 내리고, 그 눈속에 파묻혀 눈놀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에게 눈을 빼앗고 싶지 않다면 이외에도 AI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말고 사람에게, 자연에게 더 눈을 맞추라고 <붉은 겨울이 온다>는 말하고 있다.




#붉은겨울이온다 #정수종 #추수밭 #기후감수성 #탄소중립 #기후 #기후변동성 #지구 #예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