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욕망으로 점철된 세상에서 꿋꿋하게 살기 위해 오늘을 비추는 사색 1
우메다 고타 지음, 노경아 옮김 / 까치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의지 부정의 철학이다. 즉 쇼펜하우어는 죽을 때까지 우리를 조정하는 "삶의 의지"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했다. 20쪽

우리는 의지가 원인이 되어 신체를 움직인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쇼펜하우어는 이 생각을 명확히 부정했다. 62쪽

사는 동안 '의지가 부족하다' 혹은 '의지가 약해서'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누군가는 '의지가 없다'라는 말을 들었을 수도 있다. 도대체 의지가 무엇이길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거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저런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일까. 쇼펜하우어의 입장에서 보자면, "나"란 의지이자 의지와 연동하여 활동하는 신체(63쪽)라고 말했으니 왜 저런 말들이 나왔는지 이해가 된다. 쇼펜하우어를 간략하게 그러나 핵심만 담은 우메다 고타의 작지만 알찬 이 노란책은 200페이지가 되지 않는다. 중간 중간 중복(혹은 강조)되는 내용이 많아 실제로 읽게 되는 페이지는 100페이지 이내이지만 쇼펜하우어 철학의 입문자 혹은 두꺼운 주요 저작을 읽었으나 여전히 그의 철학의 시작과 핵심을 정리해서 누군가에게 전하기가 어려운 사람에게는 유익한 책이다. 정리해서 전달할 수 없다면 그것은 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는 경제적으로 또 정서적으로 부모님의 지원을 넉넉하게 받고 자랐다. 덕분에 유년 시절 해외여행을 다니며 견문을 쌓을 기회도 많았는데 그 여행 중 만났던 납득할 수 없는 여러 상황들을 보며 아버지의 바람과 달리 사업가가 아닌 철학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물론 아버지 역시 그의 선택을 반대하진 않았다. 이런 배경 때문인지 구도철학과 관련된 내용에 더 집중할 수 있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쇼펜하우어는 이처럼 금욕을 시행하는 종교들 사이에 본질적인 공통점이 있다고 보았다. 기독교의 성자든 인도의 성자든 교의는 제각각 달라도 행동의 출발점은 같다는 것이다. 그것은 진짜 인식인 "의지의 부정""이다. 즉 어느 종교에서든 의지의 부정을 인식해야만 진짜 구제나 해탈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81

누군가를 '동고'하는 마음으로 의지와 별개로 행동할 수 있지만 완전한 방법은 아니라고 말한다. 동고라는 단어가 낯설게 다가오지만 타인의 괴로움을 나의 괴로움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런 마음은 노력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불우한 이웃을 만났을 때 가진 것을 다 팔아 나눠주거나 구호단체를 만들어 평생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살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완전한 의지 부정상태가 되려면 신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성경에 쓰인 것처럼 '이웃을 내 몸처럼'이란 말은 결국 동고의 마음이 지속되는 것일테니 쇼펜하우어의 말에 공감이 간다. 또 쇼펜하우어 역시 인간의 욕망은 어떤 적정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채워야만 하는데 내면에 갖춰진 부를 언급하는 부분에 있어서 한나 아렌트를 떠올리게 했다. 인간은 혼자인 존재이지만 그 시간을 고독으로 채워가며 성장하는 사람(내적인 부를 쌓는 사람)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는 것이다. 남과 비교하며 외적인 요소를 채우려는 것을 경계했던 쇼펜하우어의 말처럼 작지만 알찬 '오늘을 비추는 사색 시리즈'를 한 권 한 권 읽어가며 내면의 부를 쌓아가길 추천한다.


참고로 쇼펜하우어의 "목적 없는 의지"가 "맹목적 의지"로 번역될 때가 많은데, 이처럼 맹목이라는 말을 "무목적"으로 즉각 해석하는 것은 시각 장애인을 멸시하는 차별적인 태도이다. 이 책이 출간된 후에는 적절한 변화가 일어나기를 바란다. 6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