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헌의 그리스 로마 신화
김헌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3월
평점 :
#을유서포터즈5기 #을유문화사 #김헌의그리스로마신화 #여름방학특강 #도서협찬 #도서제공 #그리스로마신화 #신화이야기 #김헌교수
”태초에 가장 먼저 카오스가 생겨났다.“ (19쪽)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나오는 말로 그리스 신화에서 말하는 세상의 첫 장면이다. 카오스 하면 나 또한 ’혼란, 혼돈‘이란 의미로 알고 있었는데 ’텅빈‘, 즉 빈 공간을 의미한다고 한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카오스가 생겨나고 그 이후에 대지의 신 가이아, 그리고 죽음의 신과 에로스까지 등장한다. 그리고 이들 신의 자녀들이 또 각각의 신이 되는 등 그야말로 엄청난 신들이 차례차례 등장하는 데 죽음의 신인 하데스와 타나토스는 처음에는 그 깊이가 나뉘어졌다가 점점 모호하게 유사한 의미가 되었다. 로마 신화의 최초는 누구였을까. 바로 야누스로 두 얼굴을 가진 존재로 더 많이 알려져있다. 단순히 얼굴이 조금 다른 정도가 아니라 그 안에 성격 자체가 상반되는 인물로 많이 인용되는 데 실제는 앞 뒤의 얼굴이 다른데 앞은 미래를, 뒤는 과거를 뜻하는 것으로 과거를 살필 줄 알아야 미래에도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한다.
다양한 신이 생겨난 이유는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을 ’신의 영역‘으로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의 태도가 반영된 까닭이라고 한다. 마치 우리가 결코 해결할 수 없거나 납득할 수 없는 일에 ’신의 뜻‘을 언급하는 것과 같다. 이런 절대적인 신들의 미움을 받은 사람 중 단연 손꼽히는 인간은 다름아닌 시쉬포스다.
이 이름 자체도 끊임없이 반복되는 인간의 호흡을 흉내 낸 것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쉬-푸-쉬-푸- 인간이 곧 시쉬포스인 셈이죠. 그런데 다시 다시 생각해보면 (...) 강력한 신들의 힘에 굴하지 않고 생존을 지키기 위해 지혜를 짜내고 용감하게 싸워 나간 그의 모습에서 삶을 살아가는 용기와 힘, 지혜를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342쪽
시쉬포스는 저자도 본문에 적은 것처럼 ’부조리하고 불합리한 일을 반복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시에 인간의 삶이란게 그토록 무의미한 반복, 혹은 불합리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데 위의 발췌문처럼 생각하니 그동안 시쉬포스를 떠올리며, 혹은 시쉬포스와 같은 상황이라며 좌절했던 무거운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무엇보다 여러 차례 죽음의 신에게 끌려가면서도 마지막까지 기지를 발휘해 ’죽을 때 까지‘신들의 눈을 피해 아내와 잘 살았다는 것만 보더라도 시쉬포스에게서 배울 점이 있었다. 분명 시쉬포스도 신들의 노여움이 결국 피할 수 없으리란 것은 알았겠지만 사는 동안 즐겁게, 최선을 다해 산다는 것. 정말 멋진 삶이지 않은가. 반면 지혜를 넘어 욕망의 화신이 되어버린 메데이아의 사정은 안타까운 마음도 있지만 ’선을 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메데이아는 거기에 마법의 약을 발라 놓았죠. 잠시 후 머리띠에서는 불길이 솟아올랐고, 옷은 조여 들어 살을 파고들었습니다. (...) 이루 말할 수 없이 무서운 여인, 희대의 팜므 파탈 메데이아가 순순히 물러날 리가 없었던 것입니다. 정말 끔찍한 복수였습니다. 417쪽
한 번도 아니고 여러 번 사랑하는 사람에게 배신을 당한 메데이아를 두고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 연인을 이용해 원하는 것을 얻으려 했기 때문에 불행할 수 밖에 없었다지만 그래도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내 것을 뺏으려 했던 사람들을 벌하는 것, 이것은 신의 영역이기 때문에 인간은 신의 흉내를 내서는 안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결코 얇지 않은 분량의 책이지만 아무 페이지나 펼쳐서(개인적으로는 순서대로 읽어도 좋은)읽기 시작해도 지루함 없이 계속 페이지를 넘기게 될 것이다. 그만큼 저자의 필체가 친근한데다 이해가 쉽고 무엇보다 ’우리 인간의 모습과 세상을 이해‘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된다. 위의 몇 가지 발췌문을 연결지어 감상을 적은 부분만 봐도 짐작이 될 것이다. 여러 번 재독을 해도 재미있을, 그리고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그리스 로마신화를 김헌 교수님의 책으로 읽기를 추천한다. @eulyoo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821/pimg_799477144440194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