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녀 소화 데레사 자서전 - 작은 꽃, 작은 붓, 작은 길의 영성 꼭 읽어야 할 그리스도교 고전 3
성녀 소화 데레사 지음, 안응렬.고선일 옮김 / 가톨릭출판사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소화 데레사 성녀의 자서전을 읽으면 처음에는 성녀의 부모님 이야기가 등장한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수도자를 꿈꾸었으나 각각의 다른 이유로 수도사가 될 순 없었다. 이부분을 두고 책에서는 '부모 중 한 분이라도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따라갔다면,'(14쪽)이라고 표현하여 책을 읽는 내내 '내 마음의 소리'와 '주님의 뜻'을 상기시켰던 것 같다. 아마 이 세상에 마음을 둔 사람에게는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따르는 것이 마땅한 이야기 일 것이다. 수도사 생활을 하는 것도 하느님께서 허락하시지 않으면 우리의 인내와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신앙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그런점에서 이 책, 성녀의 자서전을 읽는 기회도 어쩌면 읽어야 할 때인지도 모른다.

1888년 새해의 첫날, 예수님께서는 선물로 십자가를 하나 더 보내셨는데, 이번에는 저만이 홀로 져야 했습니다. 따라서 그 십자가는 아무도 이해할 수 없었고, 그런 만큼 더 괴로웠습니다. 277쪽

봄 부터 이런저런 욕심에 제대로 쉴틈이 없었다. 한 번도 그것이 십자가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은 내가 선택했던 일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정말 그것이 오롯이 내 선택의 결과였을까 책을 읽으며 생각해보니 그런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데레사 성녀도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제가 나쁜 영향을 받을 만한 책은 하나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145쪽)라고 말하며 독서광이라 할 정도로 책을 좋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것보다 주님보다 우선 하진 않았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그런가하면 같은 신앙을 가진 가족이라 할 지라도 지나치게 의지하거나 그로인해 병이 날 정도라면 이또한 경계해야 한다는 평소 생각의 힘을 더한 부분도 있는데 성녀 스스로 '살아가는 데 유일한 의지가 된 이'였던 마리 언니의 수도원 입회와 관련된 부분이었다. 과거 비슷한 경험이후 왜 그 때, 의지하고 있던 모든 이들과 아에 멀어지거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뜨리셨을까 미처 생각도 못하고 힘들어 했던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감사하게도 성녀가 그러했듯 넘치는 사랑을 받고 있고, 떨어져서도 신앙심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굳건해질 수 있음을 알고 있다.

책 중간중간 성녀의 얼굴, 사용하던 책상 등이 담긴 사진을 보며 이전에는 결코 다가설 수 없을만큼 멀고 먼 성인 중 한 분이라고 여겼던 것과 달리 조금 더 가까이에서 함께 계시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뭐라 말할 수 없는 친근감이 느껴졌다. 성녀께서 결코 길다고 할 수 없는 짧은 생애에 하느님의 사랑으로 더없이 충만한 삶을 살아가신 이야기와 또 가까이 지냈던 이들에게 보낸 서신의 내용들은 한 사람이 아무리 길고 긴 삶을 살아도 신심없이는 불가능한 삶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내게 보내주신 이 책, 잘 알지 못했던 성녀와의 친밀감 모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