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서동욱 지음 / 김영사 / 2024년 1월
평점 :
#철학은날씨를바꾼다
그러나 내 마음은 어둠 속에서도 햇살처럼 켜져야 하며, 가뭄 속에서도 그토록 좋아하는 빗소리가 울려 퍼지는 우산 아래의 원형 극장을 만들어야 한다. 진정 모든 변화는 생각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다. 9쪽
인간이 스스로를 가장 유약하고 신에 의해 휘둘릴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 언제일까. 그건 자연 앞에서 무력해질 때일 것이다. 아이들의 소풍이나 운동회 당일 아침, 예고도 없이 비가 내리거나 설마 했던 산사태와 홍수에 결국 인간의 위치가 어디쯤인지 알게 된다. 하지만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의 저자처럼, 우리는 날씨에 휘둘리는 것이 아니라 궂은 날씨에도 ‘햇살처럼 켜져야 한다‘. ‘철학‘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하면 겁이 살짝 나는 것이 사실이다. 어려운 용어와 은유 그리고 철학자의 이론까지 더해지면 굳이 심각하게 고민하지 말고 좋게 좋게 생각하라는 의미로 퉁치고 싶어진다. 헌데 이 책은 시작부터가 ‘아!‘하게 만든다. 봄은 모든 것의 시작이자 출발점이다. 그렇다보니 더불어 시작되는 ‘결심‘과 ‘자기개발‘의지가 활활 타오르기도 한다. 이때 우리의 맘속에서는 누군가의 ‘성공방법‘만큼 유혹적인 것이 없다. 과연 그들의 성공방식이 내게도 그럴까?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성급해진 마음은 도무지 그들의 놀라운 변화와 성공사례에 멀어지기 힘들다. 저자의 말처럼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속 컴퓨터에게 올바른 질문을 던지지 못하는 사람들과 다를 바 없다. 올바른 질문이란 무엇인가. 나를 아는 것, 그리고 과거의 반복을 통해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하고 그 과정에서 맞이하는 불확실성을 담대하게 마주하는 것이다. 날씨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끔찍한 건 ‘우울‘함 일 것이다. ‘멜랑콜리아‘ 가 ‘검은 담즙‘을 의미한다는 것을 10여년 전 이제 고인이 되신 고김진영 교수님의 강의에서 알게 되었다. 검은 담즙. 우리의 우울한 감정들이 유럽에서는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종교와 관련되어 있어 바다를 떠나는 ‘대항해‘가 결국 우울로 부터 벗어나려는 ‘떠남을 위한 떠남‘이라는 것도 20대 시절, 나의 마음과 몸이 들썩이게 되는 변명이 되기도 했다. 그런가하면 이전의 가족은 혈연과 동시에 법적으로 묶여있는 구성원들의 합이었다면 현재는, 그리고 앞으로는 우리가 상상하지도 못한 ‘가족‘을 만나게 될 것이라는게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 책에서도 AI가 데이터관리와 생성 및 예술을 포함한 창작영역은 물론 종교라는 영역까지 거침없이 침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좀 이상한 비교일지 모르지만 이렇게 말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재래의 가족은 풍비박산 났다. 어른, 아이, 아버지, 어머니, 자식 역할도 이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AI와 인간의 관계도 그럴 것이다. 인간계는 풍비박산이 났다. 168쪽
저자와의 생각이 차이가 나는 부분인데 마치 이를 염두하기로 한 것처럼 후반부에 ‘차이가 우리를 보호한다‘라는 장에서 서로 차이를 인정할 때 우리가 얻을 수 있는것이 분열이나 다툼이 아닌 ‘상호존중‘이라고 말한다. 흔히 어른들이 부부가 서로 달라야 싸우면서 잘 산다고 하시는 말씀이 떠오르기도 한다. 같은 사람들은 서로 위계를 만들어내는 반면 차이는 문화를 싹튀우는 씨앗이된다. 결국 이렇게 책을 읽는 행위에 있어 저자와 모든 부분에서 일치하고 공감을 얻어내는 것이 효용이 있을때도 분명있겠지만 AI가 도래하는 시대를 바라보는 저자와 나의 차이는 이를 어떻게 현명하게 받아들이고 대처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좋은 결과를 낳는다. 에필로그에 적힌 다음의 말들은 우리가 다름을 인정하고 차이를 수용할 때, 벌어지는 내면의 날씨변화를 견인하는 것이 다름아닌 ‘쓰다듬는 손‘, 배려임을 깨닫게 해준다.
쓰다듬는 손길은 다른 이에게 베푸는 손길이지만, 동시에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을 어루만지는 손길이다. 그 손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꼭 끌어안고 있는 손, 축복받은 손이다.(326쪽)
그렇게 나는 네 손을, 아니 지구 하나를 쥐고 있었고, 두 손이 잠시 피해 있던 외투 주머니 속에선 별자리들이 어지럽게 움직이며 모든 것이 무사할 것이라 말하듯 날씨가 바뀌었다. (327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