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방스 숲에서 만난 한국문학
장클로드 드크레센조 지음, 이태연 외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방스숲에서만난한국문학
#장클로드드크레센조
#문학과지성사

•어떤 책을 다시 읽을 때도 같은 방식으로 감정이 표출된다. 그책으로 ‘다시 돌아온‘ 것 같은 느낌으로, 처음 그 책이 우리에게주었던 기쁨에 다시 파고드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옷걸이에모자를 걸고 실내화로 갈아 신으며 집으로 돌아온 듯한 기분을느낀다. 간혹 책을 읽다가 나도 모르게 ˝집에 왔다˝고 중얼거릴때도 있다. 108쪽

이전 피드에도 잠시 고백했지만 한국에서 나고 자라 배우고 경제활동을 하면서도 때때로 중심안에 있다는 이유로 ‘한국’, ‘한국인’의 정서와 반복되는 갈등 구조에 대해 잘 알지도 알고자 노력도 하지 않았다. 낯선 도시로의 거주지가 옮겨지고, 내가 경험할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야 할 아이가 태어나면서 반은 의무감으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뉴스를 비롯한 언론사의 평가 혹은 기관의 해석이 아닌 감춰져 있거나 감춤당한 이들을 만나기 위해 내가 택한 경로는 ‘문학’이었다.

•두려움은 그녀가 무엇을 두려워하는지 알고 있다. 유숙객의두려움은 타자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 자신의 욕망에 대한 두려움의 복합체이자 결과물이다. 두려움은 정신 현상의 가장 깊숙한 곳에 매장되어 있기에 그 두려움의 존재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없다. 결국 공백에 대한 두려움이다. 우리는 이 병합되어 굳어진 두려움을 불안이라 부른다. 72쪽

책 <프로방스 숲에서 만난 한국문학>은 저자 서문부터 한국문학이 전후 시대와 90년대 이후 작가들이 가지는 주요 주제 즉, 갈등과 적에 대해 명확하게 나누어 풀이한다. 더불어 시대가 가지는 ‘외부의 적’보다 자신을 나약하게 하고 스러지게 만드는 가장 두려운 ‘내부의 적’의 관해서도 이야기 해준다. 팬데믹 시대에 저자가 걷던 프로방스 숲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마주한 한국문학 속에서 다뤄진 ‘적’이 누구 혹은 무엇이냐에 따라 당연하게도 공감의 정도가 달라졌다. 생년에 따른 차이가 아니라 자라온 환경과 결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아버지, 형제, 남편에 의해 휘둘리는 여성들은 집안일에 매어 있거나, 전문직에 대한 환상에 사로잡혀 있고, 남성들은 자신의 일에 파묻혀 있거나 사회적 지위를 쫓는다. 이들 각자는 삐그덕거리는 상황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 애쓰지만 그 끝에는 어둠과 고독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다. 어떤 행동, 어떤 반응도 피할수 없는 출구로 몰고 갈 뿐이다. 84쪽

영문학을 전공했지만 저자처럼 ‘학자’의 위치가 아닌 그저 배움이 의무처럼 느껴졌던 그 시간들이 소환되는 진기한 시간들이었다. 본문에 언급된 작품의 절반 이상을 아직 읽지 않았기에 즐거운 과제가 나를 기다리는데 이것이 마냥 설레고 좋은 이유는 역자의 말처럼 낯설지만 익숙한 혹은 그 반대의 신선함이 책을 읽는 내내 지속되기 때문이다.

#책 #추천 #문학 #한국문학 #한국소설 #책추천 #사인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