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아침에게
윤성용 지음 / 멜라이트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명랑한 세계에서 살아갈 수는 없더라도, 가끔 여행 정도는 다녀올 수 있지 않을까. 잠시만이라도 내 안에서 명랑함을 발견하는 순간이 찾아오지 않을까. 103쪽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그리고 글을 씁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윤성용 작가의 <친애하는 아침에게>를 읽었던 나의어느 날의 아침은 서두에 올린 발췌문 속 ’명랑한 세계 여행‘체험을 안겨주었다. 아침이란 단어만으로도 저마다 다양한 이야기를 꺼내어 들려주거나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책속에도 등장하는 아침에 어울리는 음악, 아침마다 반복적으로 하는 규칙이나 습관들 혹은 누군가와 함께 먹었던 음식 이야기만으로도 그 순간 우리 모두 명랑한 여행자가 된다. 저자의 이야기를 가만가만 듣다가 가장 놀랍고도 부러웠던 것은 서른 해를 살다보니 어느정도 자신에 대해 알게 되었다는 고백이었다. 마흔을 넘긴 나는 아직 저자가 자신을 파악한 만큼도 파악하지 못했다. 그저 ’스스로도 잘 알지 못하는 존재’정도다. 그렇다보니 기분이 상했을 때, 울적하다 어떤 것을 보거나 읽거나 하면서 풀고 다시 살아낼 힘을 얻어야 할 지 자주 방황하게 된다. 이 나이에... 저자의 조언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조금 다행이다 싶을 정도의 공감은 밤에 쓰는 일기가 아니라 아침에 쓰는 일기를 나도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확실히 밤에는 생각의 날개가 여기저기 평소라면 떠올리지도 못했을 지점까지 날아가지만 그만큼 날이 밝으면 실소를 내뿜게 하는 내용이 많다. 반면 아침에는 계획적이고 실천에 입각한 ‘자기개발서’성향의 일기를 쓰게 되는데 삶을 나아가는 데 있어서는 확실히 이쪽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만약 오십 년을 더 살게 된다면, 앞으로 내게는 쉰 번의 겨울만이 주어진다는 의미다. 그렇게 생각하면 겨울 하나하나가너무나 소중하게 생각된다. 122쪽

내게는 그보다 더 적은 횟수의 겨울이, 눈사람 만들기가 남아 있다. 또 이보다 훨씬 더 적은 횟수의 엄마와의 만남이 남아있을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그런 것을 헤아리기 시작하며 책을 마저 읽다보니 한 페이지 한 페이지 저자가 적어 놓은 ‘최고의 날, 눈, 강릉, 하루키 등의 단어들이 그냥 넘겨지지 않는다. 여기에 다 담을 수 없는 나의 대답들이 끊임없이 쓰이고 쓰여진다. 저자는 위로를 받았다는 독자의 말에 큰 힘을 받았다고 했다. 나는 위로도 받았지만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한동안 적지 못했던 ’나의 이야기‘를 끝도 없이 쓰고또 쓰게 되었다. 그러니 이 책을 소중한 이들에게 추천하지 않을 수 없다. ’친애하는‘ 그들의 이야기가 너무 궁금하기 때문이다.

#북스타그램 #친애하는아침에게 #윤성용 #멜라이트 #추천#에세이 #아침 #모닝페이지 #산책 #보사노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