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프 히틀러 결정판 2 아돌프 히틀러 결정판 2
존 톨랜드 지음, 민국홍 옮김 / 페이퍼로드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아돌프 히틀러 결정판 1권에 이어 2권에서는 본격적인 전쟁 진행과정과 그의 최후가 담겨져 있었다. 그렇다보니 1권에서 잠시나마 그의 인간적인 면모에 잊혔던 악행이 반전처럼 다가와 더 크게 흥분하며 읽게되었다. 영국과의 관계를 평화롭게 유지하기 위해 회담을 갖는 등 애써보지만 결국 그는 차례차례 인근 유럽 국가를 시작으로 폭력을 행사해나간다. 그런 과정에서 학살당하는 유대인 뿐 아니라 독일 군인들 또한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는 지도자로 인해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그야말로 전쟁의 참상이 전쟁사가 아닌데도 저자의 의도대로 그대로 드러난다. 이런 그의 투쟁은 그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이어지는데 프랑스의 항복을 받아낸 후 파리를 여행하며 건축물에 감탄을 하고 과거 자신의 야망이 미술에 있었다는 등의 이야기를 하는 장면에서는 괴리감이 더 크게 느껴져 멍해지기도 했다.



˝나는 당신만큼 파리를 좋아한다. 파리는 19세기 이래 예술의 중심지였다.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만 해도 나의 야망이 미술분야에 있었기 때문에 운명이 나를 정치 쪽으로 밀어 넣지 않았더라면 이곳에서 공부했을지도 모른다.˝ 202쪽



책에서는 히틀러만큼이나 그의 주변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는데 특히 힘러와 관련된 부분이 기억에 많이 남았다. 그또한 히틀러 못지 않은 문학가이자 부하들의 기억속에는 다정다감하지만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했다고 한다. 그런 그도 매일 같이 진행되는 살인행위, 학살이 가져오는 폭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그런 인식이 의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런 양심의 소리마저 명령앞에서, 대의앞에서는 가져서는 안된다는 결연함으로 이어지는 것이 안타까웠다.

힘러는 그가 유대인인지를 물었다. 젊은이는 유대인이었다. 부모 양쪽이 유대인인가? 그러했다.
조상 중에 유대인이 아닌 사람이 있는가? 없었다.
힘러는 발을 굴렀다. ˝그렇다면 내가 더 도와줄 수가 없다.˝
299쪽

그런가하면 히틀러가 마지막을 함께 하기로 약속한 에바와 관련된 이야기도 이전에는 잘 알지 못했던 부분으로 흥미로움과 동시에 다소 답답한 마음이 느껴졌는데 그의 죽음이 내가 알던 분위기와 전혀 다르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패전 후라 간소하긴 했지만 증인과 서약이 있었던 명백한 결혼식을 치뤘다는 점, 아내인 에바와 함께 마지막을 맞이했다는 점과 죽는 순간 남기는 유언을 여러번 고쳐쓰면서도 끝까지 자신의 유대인을 향한 박해와 학살의 행동에 후회가 없었다는 사실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나도 조금이나마 절대 그래서는 안되었던 그의 행동을 이해해보려고 했었던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마지막 페이지를 읽으면서 분명하게 깨달은 것은 어떤 폭력도 이해될 수도 용인될 수도 없다는 사실이었다. 히틀러에게 조금의 인정과 예술적 재능, 자신의 이념을 확고히 하려는 리더십이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역사에서 결코 잊혀서는 안되는 내용들을 복원하고자 하는 저자의 노력이 잘 담겨져 있는 책이었다.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