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마음이 약할까? - 마음에 상처받지 않는 법
조관일 지음 / 행복에너지 / 2020년 9월
평점 :
스스로 마음이 약한 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조금 불편해도, 불공평해도 참을 수 밖에 없다고 스스로를 다독였다. 하지만 그렇게 다독이면서도 결국 '마음약한 내 탓'이라는 자괴감을 피할 수는 없었다. 아마 이런 사람이 나만은 아닐 것이다. 진짜 나만은 아니라고 <나는 왜 마음이 약할까?>의 조관일 저자가 말해준다. 너만 그런거 아니다란 말만큼 큰 위로가 어디있겠는가. 책의 내용 중 1/3은 약한 자신을 탓하지 말라는 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이상 쌩떼 부리듯 약한 마음을 이용하고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에게 대항하는 방법을 1/3, 나머지는 마음이 약했지만 놀라운 성과를 내거나 위업을 쌓은 유명인들과 주변인들의 이야기로 채워져있다. 우선 이 책은 독설로 사람을 괴롭히거나 그냥 약한 것이 내 천성이니 수긍하며 살라는 식의 내용도 아니란 점에서 마음에 들었다. 사실 처음에는 지나치게 마음이 약한 사람들을 위로해주고 유명인사들 중 몇몇 이야기를 언급하는 듯 느껴졌지만 약해져서는 안되는 때와 강해져야 할 때를 분명하게 짚어주고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저자가 직접 정치권에 들어섰을 때의 일화를 통해 선의만이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우쳐주었을 때였다. 선거철이면 정당에서 헐뜯고 비난하기에 급급한 모습이 늘 불만이었다. 자기의 소신과 공약만 잘 알려주면 좋겠는데 왜저렇게 비난하지 못해 안달일까 싶었는데 그럴 수 밖에 없는 정치권 상황을 알게 된 것이다. 비난이 싫다면 아에 문을 걸어잠그고 방안에만 들어 앉아 SNS도 하지말아야 하는 이 시대에 도대체 어떻게 하면 강해질 수 있을까.
너튜브의 EBS라고 불리는 저자의 채널에도 뜻모를 비난과 입에 담기 험한 수준의 욕설이 올라온다고 했다. 나처럼 마음이 약한 사람이 SNS를 할 수 없는 이유를 제대로 잘 보여주는 셈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페이스북을 비롯 테크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은 자녀들에게 결코 스마트폰을 이른 시기에, 또 장시간 허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만큼 SNS가 좋은 점보다 그렇지 못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리라. SNS는 하고 싶지만 비난은 싫고, 자랑은 하고 싶은데 소심한 사람들, 혹은 정치까지는 아니더라도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고 싶은 이들에게 꼭 필요한 조언이 담겨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