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을 편역한 이은영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책을 출간할 때 들었던 지인들의 우려를 이야기했다. SNS시대의 어렵고 풀어야 이해되는 한시를 출간하는 것이 걱정된다는 내용이었는데 비단 한시 뿐 아니라 시 그자체가 마음을 열지 않으면 하나하나 해석해주지 않고 어떤 때에는 지나치게 함축적이고 또 서사 대신 직시와 감상뿐인 작품을 마주하면 마음이 더 어지러워져 피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을 열고 한 작품 한 작품을 마주하다보면 어느 순간 시어 하나에도 눈물이 흐르고 마음이 동해 웃고 울게되는 것이 시라는 생각을 요즘 들어 많이 한다. 특히 한시의 경우 한 자 한자에도 시를 지은 이의 마음이 전해질 때가 있어 개인적으로는 현대시든 한시든 마주하면 울컥해지다가도 결국 평온의 길로 접하게 된다. 더운 여름, 책에 수록된 귀한 작품들 중 특별히 겨울에 느낄 수 있는 정취와 간접적으로나마 마음을 시원하게 해주었던 두 편의 시를 골라보았다.




제목만 보고서도 마음에 들었던 동야독서는 에도시대의 한 학자였던 간 사자의 시다. 시를 지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깊은 밤 흔히 말하는 두꺼운 벽돌책을 보고 있다보면 이해되지 않거나 분명 단어의 의미는 알아도 글의 숨은 의도가 보이지 않다가 '유레카'를 외치는 순간이 있다. 특히 역사책을 읽다보면 지금의 아둔한 자신과 답답한 현실이 과거에도 지속되어온 굴레라는 점에서 묘하게 연대감을 느낄 때 그 지혜로운 성인들의 말씀이 어찌나 위로가 되고 응원이 되던가. 마치 이 시처럼 말이다.





위의 작품은 범성대의 작품 중 하나로 겨울과 관련된 시를 묶어놓은 시집에 수록되었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과거에도 납득되지 않는 세금으로 인해 마음이 편치 않은 사람들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렇게 밤새 뒤척이며 잠을 설쳤음에도 불구하고 겨울 날 황새가 날 있는지 걱정하는 것이 뭐랄까 웃음이 나오면서도 애잔하다고 해야할까. 사라진 월급을 한탄하면서도 당장 내 아이 혹은 내 반려견의 보양식을 챙겨주거나 길고양이들의 사료를 알뜰하게 살피는 마음이 고운 사람들이 떠오르는 작품이었다.


한시가 필사하기도 어렵고 누군가에게 해석해서 들려주기도 애매하고 원문을 읽자니 지나치게 고리타분하게 비쳐질까 염려되긴 해도 과거에도 그리고 한중일 국가와 민족을 떠나 그리움이 사무칠 때 쓰여지는 시의 감성도 다르지 않음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역사책이 정리된 사건과 사실을 전달해준다면 이러한 한시는 그 시절을 피부로 느끼고 매일을 살아온 과거의 '우리를'만나게 해주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해준 채그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