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공장
엘리자베스 맥닐 지음, 박설영 옮김 / B612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엘리자베스 맥닐의 <인형공장>은 화가가 되고 싶으나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림은 물론 기본적인 교육도 제대로 받을 수 없었던 아이리스라는 여성이 등장하는 19세기 런던의 수정궁이 완공되던 시대적 배경을 지닌 소설이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최근에 읽었던 <싸우는 여성들의 미술사>, 영화<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속의 여류화가들의 고단한 역사가 무겁게다가오지만 수집가 사일러스를 중심으로 읽는다면 소설<향수>가 떠오른다. 또 누군가 자신에게 집착하다못해 집요하게삶을 흔드는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혼자만의 힘으로 극복해나가는 강인한 모습은 <미니어처리스트>를 떠올리게했다. 물론 동생이 자신보다 외적으로 아름다운 언니의 애정행각을 훔쳐보고 또 그 끝이 파멸에 가깝다는 점에서는 영화<팻걸>과 <테일즈 오브 테일>까지 연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마 지금 언급한 책 3권과 3편의 영화까지 다 봤다면 이 소설이 얼마나 흥미롭고 놀라운 흡인력을 가진 소설임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식으로 연결고리를 만들자면 ‘왕립미술원’과 관련된 화가들의 이야기까지 끝도 없이 이어갈 수도 있다. 물론 이런 연계를 다 무시하고 ‘인형공장’이라는 제목이왜 붙여졌는지에 대해 얘기 보자면 당시의 여성은 ‘예쁘고, 정숙하며, 삶의 주인이 당연히 여성 자신이 아닌 부모 그리고남편’이었다. 마치 ‘인형’처럼. 결국 인형가게에서 견습생으로 있거나 남성화가의 모델로 움직이지 않는 인형처럼 곁에있어서가 아니라 적어도 그 시대의 그 장소의 모든 여성이 인형이였으며 결국 세상 자체가 ‘인형공장’이었던게 아닐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면 시대가 언제든 또 상황이 어떻든 성별을 떠나 인형이길 자초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리스가 위험에 빠졌을 때마다 루이가 구해주길 바라기만 했다면 어땠을까. 마치 로즈가 얼굴의 상처가 마음으로까지 번져 동생 아이리스에게 의지했던 것처럼 말이다. 돈 때문에 동물의 사체를 모을지언정 구걸하지 않았던 앨빈이 아이리스의 배려를 값싼 동정이라며 거부하지 않고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이유도 제대로된 사랑을 받아본적이 없어제대로된 사랑을 줄 수 없던 사일러스와 달랐기 때문이다.


결국 독자인 내 스스로 묻고 답해야 한다.
‘지금 내가 머무는 이곳은 인형공장인가, 아닌가?
아니라면 나는 진정 선택의 자유를 누리고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