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만 몰랐던 매혹적인 바다이야기 27
고명석 지음 / 청미디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매일 플라스틱 쓰레기를 끊임없이 버리고 있다. 종이컵, 생수병, 과자 봉지, 식품 포장지 등 대부분 생활에 포장용으로 쓰인 쓰레기다. 이러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가장 큰 문제는 한 번 생산되면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종이나 쇠처럼 재활용할 수 있는 여지도 크지 않다. 생산된 플라스틱의 대부분은 결국 가장 낮은 곳, 바다로 흘러들게 되어있다. 한번 바다에 들어간 플라스틱은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하다. 89쪽



책 제목만 보면 우리가 쉽게 만날 수 없는 바닷속 생물이나 경관이 멋진 해외의 여러 해변을 만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실제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바다의 현재를 제대로 보여주는 책'이라는 것이었다. 물론 아름답고 매혹적인 바다 이야기도 당연히 있지만 사실 그부분 보다는 바다에서 일어난 안타까운 사고는 물론 위의 발췌문처럼 아파하는 바다 이야기도 당연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몇년 전 한 미술관에 전시된 바다와 관련된 작품은 바다위에 펼쳐진 플라스틱 향연을 촬영한 사진이었다. 향연이라는 표현을 한 것은 그처럼 색색으로 펼쳐진 모습이 얼핏 봐서는 채색한 것보다 더 멋져보였지만 1초만 지나도 우리가 마시다 버린 생수병과 조업을 위해 사용한 그물 등 바다쓰레기라는 것을 깨닫게 되어 얼굴에 지어진 미소가 금새 수심이 가득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다. 슬픈 바다이야기를 좀 더 이야기 해보자면 소설<뿌리>와 관련된 편으로 노예 사냥꾼에게 잡힌 쿤타킨테와 후손들의 이야기다. 과거에는 유럽인들의 신대륙 발견, 다양한 도구의 사용과 발명 뿐 아니라 미술 및 클래식의 놀라운 역사등이 부럽기까지 했지만 역사를 알면 알수록 특히 원주민들을 노예로 삼거나 상상조차 끔찍한 수난의 역사를 접하면서 역시나 유럽의 바다편에 노예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리라 짐작했었다. 


이런 상황에서 1550년 유명한 바야돌리드 논쟁이 벌어졌다. 이것은 아메리카 원주민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인권에 관한 토론이었다. 여기서 철학자 세풀바다는 "인디오는 노예일 뿐이고 유럽인과 동등하지 않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선교사 라스카사스는 반대 입장이었다. "인디오도 유럽인과 같은 인간이다"라고 주장하였다. 168쪽


청교도를 비롯 기독교인들이 원주민들의 수난을 불러왔다는 이야기를 많이 접했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위의 논쟁조차 될 수 없었던 논쟁에서는 교황에 의해 올바른 판견이 나오긴 했지만 아프리카 노예를 데려오는 것으로 결론이나버린 안타까운 사건이었다. 바다와 관련해 우울한 이야기만 잔뜩 리뷰에 담은 것 같지만 혹시라도 나처럼 지나치게 천진한 바다만 떠올리는 이들에게 제대로된 현실을 바라보자는 의도가 있었음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유년시절의 내게 바다는 도전과 원대함, 모험과 생명력이었지만 지금의 아이들은 바다를 떠올릴 때 무슨 생각이 들까. 책에서 이야기하듯 브랜드커피의 로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바다에 묶여버린 유람선 정도로만 떠올리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