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길은 있다 - 삶의 목적과 방향을 발견하는 법
오프라 윈프리 지음, 안현모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만으로도 영향력을 주는 사람들이 있다. 특정
의류나 식품의 매출을 넘어 누군가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중 오프라 윈프리 정도는 흔치 않다. 스무 살, 잡지책을매달 최소 3-4권씩 보던 내게 오프라와 관련된 기사는 보잘것 없은 내가 마치 미운 오리 새끼의 백조라고 말하는 듯 했다. 그녀를 알게 된 후 20년이 더 지났다. 엄청난 성공과 부를 얻기는 커녕 여전히 나는 나일뿐이다. 그래서 불행하냐고 묻는다면 ‘아니오’라고 자신있게 답할 수 있다. 타인의 시각은 중요하지 않고 흔히 말하는 ‘성공의 기준’도 내게는 중요치 않다. <언제나 길은 있다>를 읽다보면 이런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깨닫게 해준다. 오히려 지나치게 많이 가진 사람들은 가지지 못한 그 한가지로 인해 자신을 불행한 사람으로 만들어 진짜 불행한 삶을 살아간다. 자신의 소명이 무엇인지 아는가. 오프라는 소명을 아는 것이 그 무엇보다 더 큰 행복임을 상기시켜 준다. 엄청난 부와 명예를 얻는 것은 소명을 실행하는데 얻어지는 부수적인 것이다. 내 소명이 만약 마음만큼은 누구보다 풍요로워 이웃과 나누는 것이라면 실제적인 부는 내게 멀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마음이나 태도가 타인의 강압이나 스스로 불만족이나 나태에 그저 순응했기에 나오는 결과라면 위험하다.


우리는 탄탄대로을 위해 기도하는 게 아닙니다. 우리의 난관이 잠들어 있는 우리의 잠재력을 깨워주기를 기도하는 거예요.- 마이클 버나드 벡위스,100쪽


행복을 그저 무사,무탈 정도로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다. 다만 삶은 나의 의지로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살면서 찾아오는 난관을 극복하려는 자세없이는 완전한 행복은 불가능하다. 행복은 결과가 아니라 행복하려는 과정과 노력이라는 말도 이에 해당한다. 민권운동가 존 루이스의 말처럼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는 나누지 않을 수 없어요.(143쪽)’ 내가 태어난 목적이 무엇인지 그 목적을 위해 무엇을 하며 또 어떻게 나누며 살아가야 할지를먼저 정리해보자. 그러고나면 당장 시작해야 할 것과 계속 지켜야 할 것은 물론 멈추고 버려야 할 것도 보일 것이다. 역자의 말처럼 이책을 읽고 나면 언제든 길을 찾을 수 있는 손전등이 생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