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익은 타인을 대하는 법 - 사랑하면서 상처를 주고받는 관계에 지친 너에게
정민지 지음 / 빌리버튼 / 2020년 6월
평점 :
낯익은 타인을 대하는 법
정민지. 작가 이름부터 적는 까닭은 앞으로 이 작가의 신간이 나오면 잊지 않고 챙겨 읽겠다는 다짐으로 적는다. 그만큼이 책이 맘에 들었다. 저자는 친구를 대하는 방법에 대해 쓰려던 것이 좀 더 확장되어 자신이 아닌 타인 전체를 두고 이야기 하게 되었단다. 저자의 말처럼 나를 제외한 세상의 모든 이는 결국 타인이다. 가장 가깝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상황에따라 너무 멀게 느껴질 때도 있고 어쩌다 몇 번 마주치거나 별로 맘에 들지 않았던 타인이 가족보다 더 나를 이해해줄 때가 있다. 저자가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상황이 토대가 될 때도 있고 아직 긴 인생을 살진 않았어도 자신의 경험이나 누군가의 일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타인들과의 사례를 들려준다. 가까운 사람에게 마치 뺨을 맞은 것처럼 상처를 받게되면 절연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일이 계기가 되어 자연스레 멀어진다. ‘나를 얼마나 안다고.’ 이전에 읽었던 관계 혹은 심리와 관련된 책에서는 함부로 아는척 하는 상대에게 계속 참아주지 말라는 식으로 말한다. 혹은 굳이 어떤 제스처를 보이지 않더라도 또 다른 누군가에 의해 더 큰 상처를 되돌려 받을 거라며 마치 복수극인듯 이야기 하기도 했다. 이 책의 저자는 달랐다. 차분한 성격덕일 수도 있지만 적어도 상처라는 것을 주었을 때 받은 사람 만큼이나 준 사람도 괴롭다는 사실과 상처를 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없는 기쁨과 위로를 주고 받으며 서로가 이전보다 나은 관계로성장할 수 있음도 보여주었다. 가족간에도 적정의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자연스레 시간이 흐르면 깨닫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어쩔수 없이 그 선이 끊어지거나 점점 옅어져 신파와 패륜사이를 오가게 될거란 말에도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이렇듯 관계에 대한 이야기 외에도 사람이 버거우면서도 혼자는 외로운 마음, 책이 좋으면서도 신기하게 그다지 책을 좋아하지 않는 배우자와 사는 등 공감가는 부분과 참고해뒀다가 나중에 타인과의 관계가 삐그덕 거릴때 꺼내쓰면 좋을 내용이 참 맘에 드는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