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유학 한 권으로 끝내기
김새미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독일로 대학진학을 생각한다면 수능과 내신에서 벗어나 '내가 왜 대학에 진학하는지?', '꼭 종합대학교에 가야만 내 꿈을 이룰 수 있는 것인지?', '대학 생활에서 나에게 학교 외에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부터 고민해보기 바랍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독일유학만 생각하고 책을 펼쳤다면 '진학이유'가 더 중요하다는 말에 흠칫 할 수도 있겠다. 비단 독일유학 책 뿐 아니라 다른 나라는 물론 유학이 아닌 어학연수도 마찬가지다. 한국이 아닌 곳에서 무언가를 배우려 한다면 분명한 목표가 중요하다. 저자는 그동안 독일을 비롯 유럽에서의 진학이 지나치게 미화되거나 잘못알려진 부분이 많아 이부분을 바로잡고 싶었다고 말한다. 유학원을 통하지 않고 직접 독일에 있는 대학원을 진학하고 졸업 후 다시 들어간 이력만큼 독일에서의 대학진학정보만큼은 제대로 알 수 있을 것 같아 이 책을 펼쳤다. 나이도 많은데다 아이가 있는 내게는 여기저기 다니며 정보를 얻기보다는 책을 통해 먼저 독일의 분위기와 진학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보기에 적합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점에서 위의 서두에 발췌문 뿐 아니라 '유학을 결심하기에 앞서'부분에 나오는 저자의 조언이 정말 도움이 되었다. 왜 꼭 독일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은 독일어를 어떻게 준비할 것이며 얼만큼의 실력이 있는지 자문해볼 수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 저자의 비유를 들자면 '축구장에 있다고 축구를 잘하는 게 아니듯' 독일어를 잘하고 싶어서등의 이유라면 독일로 유학까지 갈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유학을 결정한 이들이 누리게 될 장점은 첫 번째가 등록금이다. 여러 매체를 통해 독일은 등록금이 없는 나라로 유명하다. 그만큼 들어가기 힘들다, 학비보다 생활비가 더 든다 등의 이야기가 물론 있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학사과정의 학생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학비외에 행정비와 학생복지에 들어가는 비용은 납부하는 정도고, 졸업 후에 직장을 다니는 셀러던트나 사립대학생들은 매 학기 1000유로 이상의 수업비를 내야 한다. 나의 경우는 후자에 속하기 때문에 저렴한 학비만 믿고 준비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더불어 독일 유학 후 취업까지 독일에서 하고자 할 때에는 저자가 조심스럽게 해주는 조언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독일의 노동법에는 '그 자리를 대체 할 독일인이 없다'는 전제하에만 외국인을 채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독일어가 우리의 생각만큼 실력이 잘 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단점과 우려사항을 다 확인한 후에도 결심이 흔들리지 않았다면 본격적으로 독일 유학시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의식주 및 학업에 필수요소와 관련된 부분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학사, 석박사를 비롯 입시전형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독일어 실력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각 전형별 레벨이 달라지므로 확인 후 그 레벨의 시험만 보면 된다. 학교 및 과별로 해마다 전형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부분은 본격적으로 준비가 되면 반드시 그 해의 전형을 확인해야 하고 과별로 정원이 정해져 있거나 점수가 정해진 과 혹은 학교가 있기 때문에 수능없이 대학을 갈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합격 후 가장 중요한 것이 숙소를 구하는 부분인데 집에서 다니는 것이 아닌 이상 숙소를 구하는 문제는 학교를 선택하는 것 만큼 중요한데 국내에서도 방을 잘 얻는다는 것은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 학생신분으로 비자를 받았다면 기숙사, 일반WG, 원룸 그리고 홈스테이를 이용할 수 있다.WG는 공동 주거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기숙사가 대학옆에 바로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시내에 몇 구역으로 나뉘어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통학시간을 확 줄여줄 수 있던 국내대학을 생각하면 안된다. 원룸의 경우 2년을 기본으로 계약하는 국내와는 달리 독일은 1년이 기본이며 1년내에는 방을 뺄 수 없다. 이외에도 학교별, 숙소별 내용은 물론 독일의 교육제도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어 아이를 유학보내기 위한 부모님부터 저자처럼 대학원으로 진학하고자 하는 사람까지 책 제목대로 <독일 유학 한권으로 끝내기>가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