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건축가다 - 자연에서 발견한 가장 지적이고 우아한 건축 이야기
차이진원 지음, 박소정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새는 건축가다>를 신간코너에서 만났을때 '벽에 걸어놓고 감상할 수 있는 책'이란 추천사를 보며 멋진 새그림을 읽기도 하고 볼 수도 있으니 나중에 아이에게도 좋은 그림책이 될 것 같아 꼭 읽어야지 마음먹었었다. 막상 한 페이지 한페이지 읽다보니 그림도 그림이지만 새 뿐아니라 다른 종의 집짓기는 물론 생태정보까지 아이에게 그림과 함께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가 한가득이라 소장가치가 상당한 책이라는 말을 미리 해두고 싶다.


책표지에 실린 새는 스윈호오목눈이라는 새와 둥우리로 동물의 털을 모아 둥우리 재료로 자주 쓴다고 한다. 뜨개질 고수로 불리는 새들 중 하나인 스윈호오목눈이는 생김새가 박새랑 유사한데다 크기도 별차이가 없어 가끔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집을 짓는 장소가 박새와는 다르기 때문에 나중에 둥우리를 발견한 곳이 어디인지만 구분할 수 있다면 박새와 스윈호오목눈이를 오해하지 않을 수 있다. 스윈호오목눈이는 짝짓기가 끝난 이른 봄에 집을 짓는데 나뭇가지의 갈라진 부분에 집을 짓는다고 한다. 나뭇가지가 아닌 독특한 장소에 둥우리를 짓는 경우도 있는데 바다오리의 경우는 해안 절벽에 알을 낳고 별도의 둥우리는 짓지 않는다고 한다. 바다오리외에도 흰제비갈매기도 둥우리를 짓지 않는 새 중 하나다. 더 재미나고 독특한 새를 찾는다면 한 둥우리의 여러 새가 함께 모여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심지어 피그미새매는 빌딩 경비를 하듯 이런 떼 둥우리의 경비를 서기도 한다. 이런 떼 둥우리는 인간의 집단생활과 유사한 점이 있는데 가령 서로 경비를 서주기 때문에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면도 있지만 동시에 주목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집단 생활을 하다보면 병균이나 기생충 부분을 제대로 관리하지않으면 금새 퍼지는 것처럼 떼 둥우리역시 기생충과 병균에 취약한 편이다. 심지어 새들 사이에서도 집단 따돌림이 있으며 먹이를 훔치거나 짝짓기에 실패했을 경우 이웃을 괴롭히려고 드는 마치 분노조절을 못하는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우리에게는 <총,균,쇠>의 저자로 잘 알려진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연구했던 리전트바우새의 경우는 그로부터 '깃털 달린 피카소'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마치 새가 지었다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색상 뿐 아니라 형태 마저 각각 다른 둥우리를 짓기 때문이란다.  


서두에 밝힌 것처럼 둥우리를 짓는 장소만 제각각인 것이 아니라 짓는 방식은 물론 떼 둥우리에 거주하는 새들처럼 재미난 내용이 많아 아이들과 함께 읽기에 더 없이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새 뿐 아니라 마치 새 둥우리처럼 보이는 들쥐와 같은 다른 둥우리에 대한 설명도 있으니 동물 자체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선물하기에도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