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쓰는 관절 리모델링 - 통증을 없애고 비틀린 관절을 바로잡는 최강의 운동법
김준배 지음 / 비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에세이  #백년쓰는관절리모델링




<백년 쓰는 관절 리모델링>을 보는 순간 지금 이때에 내게 가장 필요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면 어깨, 무릎, 허리 등 관절부위가 아프다고 하면 의사 뿐 아니라 지인들 모두 '운동하라'라는 말밖에 하지 않기 때문이다. 운동을 하고 싶어도 뼈에서 소리나고 크나큰 통증으로 괴로워 하루하루가 힘겨운데 운동이라니. 몸도 아픈데 마음까지 서러웠던 차에 김준배 의사의 올바른 운동법에 관한 책덕분에 내게 꼭 필요한 운동이 무엇이며 독이되는 운동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우선 정형외과 의사들이 왜 운동하라는 말만 하는지에 대해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운동을 하라고 강조하는 이유는 수술을 받고난 후 다양한 핑계로 결코 운동하지 않기 때문이란다. 물론 잘못된 방법으로 운동을 하는 것은 문제이지만 현실적으로 따져보면 수술 혹은 시술 후 꾸준한 운동이 이어지지 않으면 다시금 아파지는 것은 시간문제인 것이다. 선천적으로 운동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급한 마음에 지금 내가 겪는 통증에 올바른 운동법을 살펴보았다. 주간에는 혼자 육아를 담당하기 때문에 손목과 무릎 그리고 허리가 늘 아팠다. 우선 손목건초염의 경우 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엄마인 내가 그럴 수 없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다행인 것은 저자 역시 육아중인 경우 덜 사용하기란 쉽지 않다며 통증이 시작되었을 때 더 미루지 말고 치료와 더불어 스트레칭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사실 이 책을 읽다보면 무리하게 헬스를 하거나 나가서 달리기를 하는 것보다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모든 통증에 꼭 필요한 운동법이었다. 






 

통증이 발생했을 때 손목건초염 처럼 손목과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목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때에도 어깨부터 목 그리고 손까지 저림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허리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때에도 손끝 뿐 아니라 발가락까지 저림현상이 있을 수 있으니 이 책을 참고하더라도 우선은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정형외과 의사가 말하는 운동의 3원칙은 무엇인가.

원칙 1 관절의 정상 운동범위를 유지하라
원칙 2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조화롭게 할 것!
원칙 3 운동은 무조건 규칙적으로 꾸준히 하라.

개인적인 경험을 떠올려봐도 통증이 발생했을 때 병원대신 운동으로 극복해보겠다고 무리하게 근력운동을 해서 병을 키웠던 적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허리디스크라 할 지라도 증세에 따라 운동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결코 지인들의 말만 듣고 운동하는 것은 위험하다. 책에 나온 것처럼 무릎에서 나는 소리에 따라 그 원인과 치료방법이 다른데 뚝뚝뚝, 지지직 등 다양한데 만약 두두둑뚝뚝이라면 무조건 병원에 가라고 말한다. 관절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질병은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 아프면 나만 고생? 아니다. 내 가족도 모두 고생하기 전에 책에 나온 스트레칭, 운동법을 수시로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