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보니 살아남았습니다 - 지구에서 사라지면 절대로 안 될 101종의 이상한 동물도감
이마이즈미 다다아키 지음, 사이토 아즈미 그림, 이소담 옮김, 황보연 감수 / 아름다운사람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보니 살아남았습니다 / 이마이즈미 다다아키 글, 사이토 아즈미 그림 / 아름다운사람들


지구에서 사라지면 절대로 안 될 101종의 이상한 동물도감, <어쩌다보니 살아남았습니다>는 멸종위기의 동물들에 대한 책이긴 하지만 대륙별로 어떤 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딱 봐서는 우리가 구별하지 못한 비슷비슷한 동물들의 차이와 특징을 재미있으면서도 특징을 제대로 묘사한 그림과 함께 설명해주고 있다. <하단에 그림참조>



 

대륙별로 살아남을 수 있는 종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 학자는 영국의 박물학자 월리스고 19세기 중반에 말레이제도를 탐색하던 때였다고 한다. 지금은 당연하게 느껴지는 것이 그때만해도 상당히 놀라운 일이었을거라고 생각하니 신기하기도 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설명하다보니 어른인 내게도 재미있게 다가왔다. 더 재미있는 것은 동물들의 특징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각 대륙별로 '이상한'동물들에 대해 설명할 때는 이상함정도를 별의 갯수로 표기하는데 예를 들어 '느림보 곰'은 킁킁소리를 내며 마치 개미핥기처럼 흰개미를 먹는다고 해서 무려 이상함이 별 다섯개나 주었다. 개인적으로 더 이상하게 느껴지는 자바애기사슴은 놀랍게도 몸무게가 2kg이다. 이런 사슴이 있는 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을만큼 놀라운데 이상함정도는 겨우 별 세개다. 아이와 함께 본다면 이상함 정도를 어른 중 한명이 가리고 퀴즈처럼 풀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고, 이상한 '이유'를 추리해보는 것도 놀이가 될 것 같다. 대륙별로 대표하는 동물을 지도부터 함께 그려가며 채워가는 놀이겸 학습도 가능해보였다. 다시 책으로 들어가면 앞서 언급한 것처럼 멸종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해설해주는 데 동물들에게도 역시 '외모'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고 느껴질만한 친칠라의 생존이유는 다음과 같다.


1922년, 동물애호가인 한 미국인이 친칠라 11마리를 자기 집으로 데려와 수를 불렸다. 그때부터 친칠라는 귀여운 반려동물로 인기를 얻어 멸종 위기에서 벗어나 살아남을 수 있었다. 106쪽


이번에는 이와 정반대로 못생겨서 살아남은 동물도 있다. 그 주인공은 '아마존매너티'. 아마존 매너티는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가 발견했으나 그가 쓴 항해일지에 따르면 '매너티는 예쁘지 않다'119쪽와 더불어 듀공과 비교하며 느리다는 평을 달아 굳이 포획까지 할 대상이 아니었기에 살아남은 것으로 설명했다. 이밖에도 생존의 이유가 재미난 경우도 많고 이상함의 정도나 이유도 읽다보면 피식하게 될 뿐 아니라 동시에 그동안 알지못했던 동물에 관한 정보도 알 수 있는 재미나면서도 교육적인 책이라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