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겨울
손길 지음 / 바른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나의겨울 #바른북스 #손길 #한국소설

저자의 책을 처음 읽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고자 했던 까닭은 <나의 겨울>이라는 제목 속 계절을 정말 사랑하기 때문이었다. 저자의 겨울이, 저자가 화자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겨울의 모습이 나의 지난 겨울과 어떻게 다를지 궁금하기도 했다. 20대의 겨울, 대학생인 화자가 방학 중에 시골에 내려와 마주하게 되는 사람들과 상황은 나의 20대의 겨울과 무척 닮아있었다. 대학교 2학년. 사업에 실패한 부모님이 귀향을 결정하시고 방 세칸짜리 아파트에 나만 홀로 남았었다. 소설 속 화자처럼 나 또한 방학중에 무언가 열심히 배우러 다니는 친구들이 이해되지 않았다. 대학은 성적맞춰서 어찌저찌 왔다하더라도 길게는 평생동안 해야 할 직업만큼은 꼭 하고 싶은 일을, 그 일은 자격증과도 어학증명서와도 무관한 일이었기에 학기보다 방학 때 더 바쁜 친구들과 거리가 벌어져있었다. 부모님이 계시는 시골에서 어쩔 수 없이 마주쳐야 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그들과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나의 안부를 걱정하는 듯 하면서 결국 일꾼 한 사람을 밥 한끼로 구하려는 모습. 그것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20대의 화자와 그 시절의 내게는 이 세상이 반드시 타인과의 교집합이 필요한 곳이라는 인식이 없기에 힘들었다. 그렇게 낯설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한 시골생활 중 '선생님'을 알게 된다. 자신을 왜 선생님이라고 부르냐는 말에 화자는 말한다. 그 언젠가 마을 어르신들에게 글을 가르쳤던 사실을 알고 있다고.
"우린 모두 서로에게 선생이라네.
나도 이곳에서 많은 걸 배웠지." 58쪽
선생님의 말에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상에 제 몫을 해내는 사람들은 모두 선생님이란 생각이 들었다. 어린 아이들은 성장하는 것이 주어진 몫이고 어른들은 아이들이 올바로 성장할 수 있도록 터를 마련해주는 것이 몫이니 각자의 위치에서 몫을 해내고 있다면 아이도 어른도 누구나 선생이란 생각에 공감이 되었다.

선생님을 만나 후로는 집에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은 것 같다.
선생님이 나에게 생각할 거리들을 계속 주셨기 때문일까?
나는 어쩌면 선생님께서 이 겨울을 끝내주는 봄이라고 기대하는지 모르겠다. 142쪽
화자의 말처럼 겨울은 세상에 펼쳐진 색을 송두리째 빼앗아가버린다. 얼핏보면 무채색이 단조롭고 타의에 의한 고립 혹은 처절하게 외로운 상태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싹과 뿌리가 생명을 움트고 아기 고양이 '겨울'이와 어린 생명은 여전히 살아 숨쉰다. 같은 계절을 보아도 보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따라 천지차이다. 이렇듯 화자는 선생님을 통해 이전에 알지 못하거나 볼 수 없었던 것들 하나하나 배울 수 있었던 '겨울'을 보여준다. 덕분에 화자의 나이때에 깨달았어야 했던 것중 미처 깨닫지 못했던 부분을 나 또한 배워가는 '겨울'을 만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