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좀 빌립시다! -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기괴하며 파란만장한 시체 이야기
칼린 베차 지음, 박은영 옮김 / 윌컴퍼니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칼린 베차의 <뇌 좀 빌립시다!>의 부제는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기괴하며 파란만장한 시체이야기’로 읽는 내내 정말 페이지가 넘어갔다가 또 다시 되돌아와 읽기도 하고 관련된 용어나 정보를 검색하려고 휴대폰을 곁에 두고 읽었다. 우선 문체가 딱딱하지 않고 대화체로 약간의 농담과 장난을 섞어놓아 지루할 틈이 없었다. 그러면서도 픽션과 논픽션을 정확하게 구분지어 독자가 헷갈리거나 오해하지 않도록 신경썼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표제로 쓰인 제목은 아인슈타인의 뇌와 관련된 이야기에 쓰인 소제목으로 천재의 죽음 이후 그의 뇌에 의학자로서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순서상으로는 뒷부분에 위치하는데 첫 번째 이야기는 시체를 다루는 책답지 않게 포르투갈 이네스로 시작된다. 페드루 왕자와 본처의 시녀로 만나게 된 둘의 사이는 이네스의 시신을 대관식에 앉히는 페드루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식부부로 남는데은 실패한다. 반면 인도 무굴제국의 황제 샤 자한은 아내 뭄타즈 마할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으로 그녀의 무덤건축에 22년이라는 시간과 2만명의 인력을 동원하여 인도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타지마할’을 짓기도 했다. 이런 무난한 이야기 뿐 아니라 루이왕14세의 심장을 먹은 윌리엄 버클랜드의 특이한 식성과 함께 부검결과 베토벤의 사인이 납중독이었으며 에드거 앨런 포의 사인은 비소 중독으로 생전에 정말 괴롭고 안타까웠을 찰스 다윈은 위장장애를 가지고 있었던 내용들이 흥미롭게 다뤄지고 있다.
영화 위대한 쇼에서 잠시 등장했던 창과 엥 형제는 결합쌍생아로 그들이 태어난 지역이 현대의 타이, 시암, 샴으로 샴쌍둥이란 용어가 이 형제에게서 나왔다는 사실도 알게되었다. 이외에도 시체가 분해되는 순서와 환경에 따른 속도차이, 이식에 흔히 사용되는 부분과 살아있을 때가 사망전 보다 효율이 좋다는 것은 물론 혈액의 경우 사망 한 체내에서 채혈한 후에도 수혈이 가능하다는 사실 등 관련 지식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