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가 버린 사람들 - 그들이 진보에 투표하지 않는 이유
데이비드 굿하트 지음, 김경락 옮김 / 원더박스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엘리트가버린사람들 #roadtosomewhere #데이비드굿하트 #원더박스 #davidgoodheart







데이비드 굿하트의 <엘리트가 버린 사람들>은 원제, Road to Somewhere 의 의미를 먼저 알고 가는 것이 책을 읽고 이해하는데 수월할 것이다. 섬웨어는 자신이 나고자란 지역에서 경제활동을 하며 살아가는 서민층으로 뿌리에 대한 애착이 있는 이전까지는 그다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그룹을 의미하며 애니웨어는 이와 달리 고학력자들로 세계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살아가는 데 큰 문제가 없는 고학력, 중산층등을 말한다. 정치인들에게 주요 관심사와 대상은 주로 애니웨어에 한정되어있었으나 지난 영국의 브렉시트 가결과 미국 트럼프의 당선을 통해 더이상 애니웨어에게만 집중할 것이 아닌 섬웨어들의 막상한 힘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책의 주요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이 책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의 반응은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종교나 예술계통의 관련된 이야기가 누락되었다는 점 등을 아쉽거나 비판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저자는 이부분에 있어서 결코 부정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저자 스스로 애니웨어 그룹에 속해있었으며 탈애니웨어화 되면서 섬웨어의 상황 뿐 아니라 미국은 물론 다른 유럽권과의 관계도 다뤘다는 점을 살펴보면 될 것이다. 저자의 말에 동조할 수 있는 부분이 반드시 모든 사람이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들어 국내에 유권자들의 행태만 보더라도 섬웨어로서 차별받았고 소외되었던 부분들을 자신들이 가진 투표권을 내세워 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물론 자신의 소리를 낸다는 것은 당연하며 바람직한 것이나 의외의 후보에게 표를 던지거나 애니웨어의 중심에 서 있는 후보를 반대하기 위한 투표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민자들의 수용문제에 관해서도 독일의 선례를 보며 제대로된 대책없이 수용하는 것은 결사 반대라는 입장이 대부분이다. 본문에도 등장하는 것처럼 국내의 빈민층을 보호하는 것만큼 혹은 그보다 더 글로벌한 문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점은 애니웨어, 그것도 종교가 가톨릭집안인 10%정도에 머문다는 것은 한국으로 치자면 그보다 더 열악하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이전처럼 애니웨어 그룹에게만 신경을 쓴다면 표를 얻지 못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사회시스템의 붕괴는 물론 제대로 검증받지 못한 후보 혹은 정당의 집권으로 위험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정치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도, 미국의 트럼프나 브렉시트 사건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이민자들과 관련된 정책이 어떻게 정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이라면 쉽고도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