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마음사전 걷는사람 에세이 6
현택훈 지음, 박들 그림 / 걷는사람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어마음사전 #현택훈 #걷는사람

제주어는 언제고 다른 지방의 사투리처럼 오래도록 남아있을 줄 알았는데 <제주어 마음사전>을 보니 유네스코가 제주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다고 한다. 제주에 살아본적도 없는 나도 이런 사실이 아쉽기만한데 제주에서 나고 자란 저자는 어찌 아쉽지 않았을까. 자신이 가진 능력을 제대로 살려 제주어를 오래도록 전해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작가로서의 소명이지 않을까 싶다. 책의 구성은 제주어로 키워드가 소제목처럼 정해지면 그와 관련된 저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이었다. 제주어와 표준어의 발음이 유사해서 단박에 알아맞추는 단어도 있지만 '고장'과 같은 단어는 짐작도 못했던 '꽃'이라는 의미로 사전이 없다면 제주어로 된 글을 제대로 읽지도 못할 게 뻔했다. 작가가 들려준 이야기 중에 사고로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는 그것이 음식과 관련되어 있어서인지, 아니면 생일상과 관련된 거라 그런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어머니의 마음을 어린 마음에 아프게 해서였는지 몰라도 책 한 권을 다 읽고 나서도 오래도록 남아있었다. 이렇게 짠한 이야기도 있지만 청춘소설에서 만날 법한 첫사랑이 친구와 결혼하게 된 사연같은 재미있는 내용도 있다. 저자가 존경하는 작가님을 만났을 때 제대로 이야기하지 못한 아쉬움이 담긴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데 이런 이야기들이 모두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제주어를 주제로 담겨져있다. 그런가하면 제주를 떠올렸을 때 어쩌면 가장 가슴아픈 사건이기도 한 4.3항쟁과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할 때면 역사속에서 제주가 지금처럼 관광지로 환영받기는 커녕 완벽하게 소외당했던 시절도 자주 등장한다. 이렇게 산문만 있는게 아니라 저자가 지은 시도 여러 편 실려있다. 중요한 문예지에 실리기 어려운 졸작이라고 겸손하게 말하지만 제주의 귤꽃, 바다내음 등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시 안에서 귤향, 바다내음이 느껴지는 듯 친근하고 생생하다. 제주사람이 지은 작품이니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달나라에서 바라보지 않더라도 서귀포 씨

바람과 나뭇잎이 뜨개질로 연결된 프랑스 수예점

살아 있는 책과 함께 산책하는 산책 논술 교습소 돌아

시간이 턱을 괸 카세트테이프 도는 예음사

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흥얼거리며,

잎속에 넣고 굴러보는 서귀포씨

- 서귀포 씨 오늘은 중에서, 119쪽-

마지막으로 제주에 다녀온지도 벌써 4년이 지났다. 제주는 처음 갔을 때 보다 오히려 갈적마다 더 새로운 기분을 들게 한다. 해외여행보다 경비가 더 많이 든다며 제주여행을 기피하는 분위기도 있지만 제주만이 가지는 그 특별함을 제주가 아닌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같은 한국 사람과의 대화인데 낯설은 느낌, 낯설지만 그렇다고 냉소적이지 않은 제주어. 최근에 본 영화<집이야기>속에 등장하는 주인공 엄마의 집에는 곳곳에 감귤이 놓여있는데 그로인해 집안 전체에서 은은하게 감귤향이 난다는 대사가 나온다. 책<제주어 마음사전>을 책장에 두어서일까. 이전보다 훨씬 더 제주가 친근하게 다가오는 기분이 든다. 곁에 두었다가 제주에 방문하게 되면 베지근한 국수를 먹을 때, 아까운 책방을 찾을 때 제주어로 그때그때 소감을 이야기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