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들 담푸스 세계 명작 동화 4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키아라 피카렐리 그림, 김하은 옮김 / 담푸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토르 위고의 작품을 톨스토이가 다시 쓰고 키아라 피카렐리가 그림을 그린 <가난한 사람들>은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 물고기를 잡으러 간 남편을 기다리는 잔나를 통해 가난한 사람들을 모습을 단편 적으로 보여준다. 가난하기 때문에 하루라도 바다에 나가 물고기를 잡아오지 않으면 가족 모두가 굶어야 하는 까닭에 돌아오지 않는 남편이 혹시라도 이웃집 사람처럼 못돌아오는 것은 아닐까 두려움에 점점 괴로워진다. 하지만 그 두려움도 잠시, 남편을 잃은 이웃집 여자와 아이들이 걱정된 잔나는 조용히 그집을 방문한다. 이부분에서 잠시 생각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내 남편이 혹은 아빠가 돌아오지 않아 걱정이 가득한 데 이웃집을 떠올릴 수는 있겠지만 그곳을 찾아갈 생각은 못할 것이다. 걱정이 되더라도 일단 남편이 무사히 돌아온 후에 가도 늦지 않을거라며 당장의 남편이 돌아오지 않는 것에 다시 온신경을 쓰기 마련인데 잔나는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남편 없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막막한 만큼 이웃집이 걱정될 뿐이다. 안타깝게도 이웃집 여자는 이미 축늘어지고 온몸이 차갑게 식어버렸다. 그리고 그 곁에 아직 어린 아이 둘이 서로 꼭 안고 있다. 그 아이들은 잔나를 보며 놀랜다거나 무서워 한다는 내용이 없다. 심한 굶주림으로 아마 지쳐있거나 엄마를 잃은 아픔으로 두려움마저 느낄 수 없었을 것이다. 잔나는 그 두 아이를 망설임없이 자신의 집으로 데려온다. 하지만 현실을 마주하면 남편이 화를 낼 것 같아 걱정스러워한다. 그리고 또 이즘에서 생각해본다. 내가 만약 잔나 입장이라면 남편의 허락도 없이 아이들을 데려올 수 있었을까, 혹은 당장 두 아이가 죽은 엄마 곁에서 위험한 상태에 놓여있는데 남편의 화나 원망따위가 무슨 의미일까 싶은 생각이 들까 싶다. 하지만 폭풍우치는 날에도 쉴 수 없는 가난, 가난한 사람들인 잔나네 가족에게는 인정과 동정보다 삶이 더 먼저 일 수도 있다. 어쨌거나 바다에 나간 남편이 돌아와야 한다. 걱정이 깊어지자, 잔나는 가장 겸손 된 자의 태도, 기도를 바친다.

하느님, 제발 남편을 지켜 주세요.

잔나의 남편이 무사히 돌아오지만 잔나는 그 기쁨보다 남편몰래 숨겨둔 이웃집 아이들 때문에 남펴의 눈치를 살피며 이웃집 여자의 죽음과 아이들이 버려져있을 것을 안타까워한다. 사정을 들은 잔나의 남편은 한동안 깊은 고민에 빠진다. 이웃을 돌본다는 것은 일회성으로 금전적 지원을 하는 것부터 시작이지만 당장 자신의 자녀들조차 넉넉하게 보살피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그마저도 쉽지 않다. 잔나의 남편이 아닌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의 답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