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과 신호 - 당신은 어느 흔적에 머물러 사라지는가?
윤정 지음 / 북보자기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적과 신호 / 윤정 지음/ 북보자기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앎은 삶의 무기이자 자존감을 높이는 주요 수단 중 하나였다. 인문학 전공은 인기가 없더라도 인성과 삶을 위한 사설 철학강의에 사람이 몰리는 까닭도 이때문이다. 누군가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 뿐 아니라 내가 누구인지를 잘 알기 위해서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때가 있다. <흔적과 신호>의 저자 윤정은 정신분석학에 있어서도 이 모든 학문을 알아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나에게 정신분석상담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철학, 사회학, 윤리학, 심리학, 정신분석학 외에도 물리학, 분자생물학, 세포학, 면역학 등 기초적 개념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한다. 현상학적인 학문에 비중을 두는 것은 우주의 현상과 우리 몸의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거기서부터 인간에 대한 이해가 출발되어야 한다. - 저자 서문 중에서-



책의 구성은 1,2,3부로 나뉘어지며 총 39명의 물리학자, 철학자, 정신분석가 등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흔적, 신호, 정보 그리고 시선이라는 분류로 언급되어 등장한다. 흔적은 그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들려주는 데 어떤 의미에서보자면 지극히 사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마치 한 편의 시를 보듯, 혹은 산문을 보듯 그렇게 이론가와 이론들이 어떤 흔적들을 남겼는지 혹은 어떤 흔적들로 인해 등장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해준다. 그리고 그것이 역사속에서 혹은 학문에서 어떤 신호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사적인 시선이라고 말했지만 그것이 반드시 인류의 시선인것만도 아니다. 때로는 자연의 중심이기도 하고 또 어느 부분에서는 생물의 일종이기도 하다.



말할 수 없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의 경계 속에서 대상화할 수 없는 모든 것은 상징이라는 예술 속에서 성스럽고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만들면서 틈새를 메운다. 모든 의미와 진리는 성스러운 예술의 이미지에 포섭당한다. 83쪽



상상과 상징을 명확하게 구분지을 수 있다고 믿었던 때가 있었다. 물론 그 둘의 개념이 모호하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저 내가 상상하는 것이 어떻게 상징화 되어가는지를 설명하고자 할 때 과연 그것이 어떤 기준으로 상상이 되고, 상징이 되는가를 공과사로 구분했던 것은 <흔적과 신호>를 통해 명징하게 깨닫게 되었다.



인간은 언어를 빌려 삶을 말하지만, 삶은 언어의 허영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 언어는 불가능에 대한 고백이다. 언어를 가지고 말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삶을 수용하려는 헛된 몸짓에 불과하다. 어쩌면 인간은 언어 뒤에 자신을 감추고 살아가는 은둔자인지도 모른다. 155쪽



위의 내용은 헤겔의 정신현상과 관련된 흔적이다. 정신은 인간의 사랑을 넘어 신과의 화해를 통해 절대적이고 불멸의 생명을 지닌 자아를 허용하게 만든다. 이런 논리로 볼 때 헤겔은 예수의 존재를 공동체 속의 구성원으로 바라본다고 했다. 그의 숭고한 정신은 다름아닌 공동체적 안에서 이루어졌기에 개인과 사회안에서도 그 존재가 일치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예수의 죽음은 인간에게 유한성이라는 노예상태와 이를 극복하는 주인의 개념이 함께 있어 모순을 극복한 상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주에는 10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다고 한다. 우리 은하는 그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305쪽



반면 보통의 인간인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는 앞서 이야기한 죽음과 관련된 모순을 극복하며 살아가고는 하지만 여전히 관계속에서 그리고 사회안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로 머물게 된다. 또한 무언가를 소망한다는 것은 그것을 가지고 있지 못한 현재의 상태 혹은 가질 수 없는 불완전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흔적들 속에서 태초의 가장 완전한 상태, 혹은 완벽한 어둠의 상태의 빅뱅, 대폭발의 신호로 이어진다. 대폭발이후 우주는 지구와는 다른 중력의 영향을 가지게 되고 아름다운 별로 가득채워진다. 이는 인간이 다른 생물과 달리 사유하는 까닭에 끊임없이 연구되고 이야기화 되어진다. 그렇기에 정신분석학을 공부할 때 양자역학, 중력, 상대성이론과 같은 자연철학을 공부해야하는 이유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눈으로만 읽자고 하면 어렵지 않지만 그 흐름을 쫓다보면 어느새 많은 것을 채워야 할 만큼 거의 빈 상태의 내 자신을 알게 해준다. 무언가를 공부해야 할 지, 내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뿐 아니라 나를 포함한 인류의 흔적과 신호를 알고 내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헤아려보게 해주는 <흔적과 신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