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성이 여성성에 대한 평가 절하를 거쳐 비대칭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가장 명백하게 보여주는 사례는 ‘사나이, 가시내, 남편, 여편‘ 등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언어이다. 한국어로 남자를 뜻하는 사나이‘라는 말은 주로 젊은 남자를 지칭하는 말이며, 이와 대비해 여자를 지칭하는 말은 ‘가시내‘ 이다. 사나이’는 표준어가 되었으나 가시내는 계집아이를 비하하는 속어가 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남편(男便)과 대칭되는 여편(女便)은, 여편네라는 말로 아내를 속되게 부르는 말이 되었다. 남자와 대칭되는 여자의 지칭은 처음에는 대칭적 의미로 동등하게 생성되었지만, 여성과 관련된 명사는 여성의 낮은 지위로 인해 같은 표준어가 되지 못한다. 여자다움에 대한 체계적인 부정을 통해 남자다움의 정상적이고 보편적인 지위가 보장되어 왔던 것이다. - P11

남성 신체의 정상성을 판별하는 데 지금처럼 음경의 형태와 외부 생식기의 돌출 정도를 기준으로 삼기 시작한 것은 언제일까? 한국의 경우는 1950년대 들어서다. 군대의 신체 검사 제도는 신체를 등급으로 나누고 정상/비정상의 기준을 만들어냈다.
이때 남성의 신체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헌신하며, 국가의 명예를 드높이는 영광된 의무를 수행한다. 근대적남성은 늘 체육 같은 운동을 통해 신체를 단련해야 했고, 운동과 전투에 문제가 없는 몸 상태를 유지해야 했다. 신체 검사 검진 기준에 음경과 고환과 관련해 이례적으로 많은 기준이 부여된 것은, 군대를 통해 특정한 몸을 만들고 특정한 몸을 걸러내겠다는 의도를 보여준다. 이는 남성이 되기 위해서는 이성애 규범적 성관계를 할 수 있는 신체를 갖춰야 하며 국가 건설과 국민 만들기에 적합한 개인만 국민으로 인정하겠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바로 근대 남성 신체의 발명기이며, 근대적 남성성의 시작이다. - P1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1-07-14 19: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책 좋은데 ~ 다시 읽고 싶다!!! 후다다다닥

난티나무 2021-07-15 02:08   좋아요 1 | URL
공쟝쟝님 좋다고 하시니 저도 얼른 읽어야 겠습니다. 불끈!! 여행 중에 읽으려고 들고 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