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장하석 지음 / 지식플러스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제가 여름부터 과학철학과 관련된 책을 조금씩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그 노력의 첫 발자국이 바로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라는 책을 읽는 것이지요.

먼저 장하석은 누구인가!

쿤을 넘어선다는 평가도 있는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과학철학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으로 있다가 외국으로 건너가 공부를 이어서 한 사람이고, 서민 교수의 강연을 들으러 갔을 때, 서민 교수와 같은 초등학교과 고등학교를 다녔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ㅋㅋ

 

과학사와 과학철학에 풍부한 지식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 그는 제가 닮고 싶은 과학자에요. 게다가 전 실험과 관련된 철학을 정리하고 싶은데 이 책을 보면 그런 부분이 많이 나와 있어서 장하석 교수님과 같이 연구하고 싶기도 하고 먼저 연구해서 야속하기도 하지만..ㅠㅠㅠㅠ 감사한 마음이 훠어어어얼씬 큽니다.^^

 

 

이 책은 크게 3개의 PART로 구성이 되어 있어요.

근데 이 책의 장점이 뭔줄 아세요?

바로 그의 강연을 묶었다는 것! 그래서 굳이 책을 읽지 않더라도 유튜브에 이 책의 제목을 검색하시면 같은 제목의 강연이 13강 정도 나옵니다.(강연이 먼저에요!)

저는 강연을 먼저 보고 책을 읽었어요. 공부하는 입장이어서 조금 더 머리속에 책의 내용을 넣기 위함이지요. 강연을 보고 책을 보면 놀랍게도 교수님 음성지원 되듯 거의 똑같은 내용입니다. PART2에서 실험을 하니까 이 부분이라도 영상을 보면 좋다고 생각해요.

 

요즘 제가 읽는 책마다 나오는 과학 vs. 비과학. 그리고 포퍼 vs. 쿤

과학철학에서는 기본적으로 다루는 주제인가봐요. 책을 많이 읽다 보니 다행이도 이 부분은 아직까진 이해를 잘 하고 있어요. 하하하하하핫

과학사에도 정통한 교수니만큼 많은 과학사를 예로 들어서 굉장히 재미있게 꾸며놨어요. 이 책을 읽으며 메모한 것이 대략 17쪽 나왔네요. 너무 욕심부린건가...

 

제가 제일 재밌어 했던 부분은 바로 PART2입니다. '과학철학에 실천적 감각 더하기'라는 큰 제목을 가진 부분인데 과학사를 자세히 파고들면서 철학적인 내용을 다루었어요. 이 부분에서 실제로 실험을 해주신답니다! (저도 실험과 같이 하는 강연을 하고 싶어요.)

 

특히, 물의 끓는점을 가지고 굉장히 오래 말씀하셨어요.

9장의 내용이 물은 항상 100도에서 끓는가?? 입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끓이면서 물은 과연 언제부터 끓는다고 할 수 있을까? (어떤 현상을 보여주며) 이 것은 끓는다고 할 수 있을까? 등등의 의문을 계속 던지면서 강연을 듣거나 책을 읽는 우리에게 계속 현상에 대해 의문을 품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앞으로는 눈에 보이는 지극히 일상적이고 당연한 현상들이 당연해보이지 않을 거에요.

 

과학에 있어 전문가는 있지만 과학의 전부는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고 전달하면서, 일상생활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현상에 대한 연구는 우리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역설합니다. 충분히 공감되었어요. 어쩌면 우리는 과학 전문가보다 일상 현상을 훨씬 더 많이 알 수도 있으니까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호기심을 대하는 태도가 아닐까 싶어요. 저는 항상 호기심을 강조해요. 그래야 뭐든 시작할 마음이 생기니까. 물론 호기심이 없어도 이 세상 살아갈 수 있지만 조금 더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당신의 호기심은 어디를 향하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