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는 잘 있습니다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50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7년 9월
                    
                  평점 :
                    
                    
                    
                    
                    
                    
                    
                    
                    
                    
                    
                 
                
            
            
            
        
 
        
            
            
            
            
            
            
            
오랜만에 리뷰 돌아왔습니다. 
 
워낙 저는 팀플보단 혼자가 익숙한 사람입니다. 
공부도, 밥도 혼자가 더 편하고 여럿보다 선호합니다. 
영화보러 가는 것도, 내가 좋아하는 장소를 가는 것도 혼자가 좋습니다. 
아마 혼자 생각을 정리하기도, 더 흐트리기도 편할지도요. 
물론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뭐든 좋겠지만, 그래도 혼자가 좋기도 합니다. 
 
그런 제가 한 번 용기내어 북클럽을 해보게 되었어요. 
주제는 시읽는밤(시 낭독)이고 북메트로의 북클럽이에요. 
혼자 읽고 느꼈던 시는 참으로 어려웠어요. 처음으로, 아니 당신을 빼곤 처음으로 
다른 사람들과 얘기를 하니 너무나도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수다가 다 그렇듯, 가끔 딴 얘기로 빠지기도 하고 때론 매번 진지해지기도 해요. 
전, 앞으로 북클럽 활동을 자주 해볼 생각이에요. :)
 
이병률 시인은 시인이기 전에 여행 에세이로 더 이름을 날린 사람이에요. 
그런 걸 몰랐지만 어찌나 이 시집의 제목이 참....
"바다는 잘 있습니다." 배경 색과 함께 약간은 불안할지라도 잠시 왠지 모를 안정이 됩니다. 
 
처음 읽는 이병률 시인의 시는 슬픔을 참 예쁘게도 그린다는 것이에요. 
제가 한동안 친했던 기형도 시인과는 느낌이 달랐습니다. (둘 다 좋아요.^^)
 
낭독 모임에 참여하고 제일 크게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혼자 읽다보니 책을 소리내어 읽지 않았는데, 
읽을 당시 큰 여운이 남지 않은 구절도 낭독을 하거나 누군가의 낭독을 들으면
다르게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이제 저는 혼자서도 소리내어 읽어볼 참입니다. 
 
그럼 아래 저의 인상깊은 시 외에 당신의 시도 제 마음에 남겠지요. 
당신의 시도 다르게 느껴지겠지요. 
 
 
당신, 오늘은 어떤 시를 낭독하나요? 
            
            
            
            
            
            
            이구아수 폭포 가는 방법(마지막 연)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 그동안의 오해가 걷힐 것 같아 최선을 다해 당신에게 말하건대 내가 가끔씩 사라져서 한사코 터미널에 가는 것은 오지 않을 사람이 저녁을 앞세워 올 것 같아서다
  이토록 투박하고 묵직한 사랑(마지막 연)
  완벽한 사랑은 공중에 있어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어찌 삶이 비밀이 될 수 있단 말인가
  그 사람은 여기 없습니다
  그 사람은 지금 여기 없습니다 ... 처음부터 나중까지 오래 올 수 있으며 한참을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는 사람 ... 내게 공중에 버려지는 고된 기분을  여러 번 알리러 와준 그 사람을 지금 다시 찾으러 가겠다고 길을 나서고 있는 나를 나는 어쩔 것인가요
  새(마지막 연)
  자다가도 몇 번을  당신을 생각해야 이 마음에서 놓여날 수 있습니까
 
  무엇을 제일로(마지막 연)
  도저히 뺄 것 하나 없는  그 사람의 무엇 하나만을  어떻게 옹색하게 바란단 말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