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러비드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6
토니 모리슨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배운 지가 삼십 년도 넘었건만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있는 후렴구이다. 남편을 기다리는 백제 여인의 마음을 노래했다는 <정읍사>. 정작 본문은 기억나지 않는데 아무런 뜻도 없다는 이 문구가 10대 후반의 나에게 꽤 인상 깊었나 보다. 물결처럼 출렁거리는 문장들을 가만가만 발음하다 보면 여인의 마음이 어땠을지 막연하나마 알 것 같았달까.

가끔 이런 구절을 만날 때가 있다. 아무 의미도 없는 데 마음이 담겨있는 것 같은 문장 말이다. 이 책의 많은 문장이 그랬다. 이성적으로 분석하면 주술 관계도 안 맞고 당최 문맥도 이상한 문장들을 읽는 과정이 왜 그리 먹먹했는지. 주인공들이 방백을 하듯 마침표도 없이 이어진 문장들이, 혼잣말인 듯 노랫말인 듯 중얼거리는 문장들이 질척한 밀가루 풀처럼 마음에 들러붙었던 시간이었다.

 

노예제에 희생된 흑인들과 얽힌 남북전쟁 전후, ‘육천만 명 그리고 그 이상의 사람들의 이야기. 1/n의 이야기이지만 n 전체를 대변하듯 묵직하다. 그 안에 담긴 심리 묘사와 서정성의 무게이리라. 인물의 내면은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는다. 현실과 비현실적인 인물들이 과거와 현재로 종횡무진하는 데 비하면 서사 구조는 단순하다. 여주인공 세서와 딸 덴버가 사는 124번지에 20여 년 전 노예 농장 스위트홈에서 함께 일하던 남자 폴 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빌러비드란 이름을 지닌 미스터리 아가씨가 등장한다. 이 소설은 그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밀당 이야기이다.

18년 전, 도망친 여자 노예 세서는 노예 사냥꾼에게 딸 아이를 넘겨주지 않으려고 아이의 목을 톱니로 긋는다.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이 소설은 사건 전후로 펼쳐지는 등장인물 내면의 이야기가 작가의 상상력으로 펼쳐진다.

 

소설 제목이기도 한 'Beloved'는 어머니가 자기 손으로 죽여야 했던 아이의 묘비에 새겨넣은 글자로 사랑받는 이라는 의미이다. 소설 『폭풍의 언덕』에 등장하는 캐서린의 망령처럼 빌러비드라는 비현실적인 인물은 그 어머니를 찾아간다. 현실감 없는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인물의 심리 묘사는 소름이 끼치도록 생생하다. 죽은 딸 빌러비드와 살아남은 딸 덴버는 어머니를 중심축으로 사랑의 쟁탈전이라도 벌이듯 사랑을 갈구한다.

사랑에도 빛깔이 있다면 이들 사이의 감정은 무슨 색으로 구현이 될까? 자식들이 부모를 바라보는 감정은 그렇다 치더라도 노예의 삶을 물려주고 싶지 않아서 자식을 죽일 정도의 사랑은 어느 정도의 무게였을까. 몸을 주는 대가로 죽은 아이의 묘비에 새길 이름 4글자를 얻고자 했던 모성은 어느 정도의 깊이였을까. 짙다. 너무 짙다. 그 빛깔을 표현할 만한 세상의 언어가 너무 옅다.

 

단순히 흑인과 백인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인간이 인간을 향해 자행한 행위에 관한 이야기이다. 인간을 동물처럼 여기던, 인간이라는 탈을 쓴 동물의 잔혹성 그 너머로 드러나지 않았던 삶에 관한 이야기이다. 인간이 할 수 있는 행동일까 싶은 의구심에 한이 어린 느낌표를 찍어주는 이야기이다.

작가의 필체는 과감하다. 차마 말할 수 없는, 기억하고 싶지 않음에도 선명하게 각인된 내면의 이야기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그 기개가 힘차서 당황스럽다. 알 듯 말 듯 몽글몽글한 인물들의 심리 묘사는 추임새인 듯 거드는 역할을 하며 분위기를 극대화한다. 배경을 묘사하는 문장들은 대조적으로 투명수채화를 보는 듯 한들한들하다. 이 모든 분위기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다 읽고 나면 뭔지 모르겠지만 어떤 느낌인지는 알 것 같은 기분이랄까.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 느낌표처럼 짙은 무게추 하나가 심장 끝에 매달려 잡아당기는 느낌이 든다.

 

읽고 나서 잠시 밖을 나오니 나에게 다가오는 세상의 느낌이 달랐다. 마스크를 살짝 벗고 크게 심호흡을 했다. 자유롭게 마실 수 있는 공기가 새로웠고, 자유롭게 옮길 수 있는 걸음이 달 표면을 걷는 우주인인 양 가벼웠다. 두 팔을 휘휘 저어보았다. 나의 몸을 나의 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온전한 자유가 새삼스러웠다. 당연한 듯 누리는 이 행위가, 자유라는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일상적인 몸짓이 과거의 어떤 이들에게는 절실한 바람이었음을 생각하니 문득 시큰해졌다.

잊기 위해 기억하는 심연의 아픔을 지닌 이들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말은 감히 하지 못하겠다. 내일로 한 발 걸어가기 위해 고통스런 어제를 응시해야 하는 이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겸허히 기억하겠다 말할 뿐. ~ 나의 언어가 너무 가볍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감 2020-12-10 11: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먹먹한 문장도 많았어요. 그보다 어지러운 문맥이 많아서 그렇지만요ㅋㅋ아 진짜 남들 다 잘만 읽었다는데 전 왜이리 힘들었을까 싶네요ㅜㅜ
흑인문학이 대체로 어두워요. 정말 어둡기만 해서 별로거든요. 작품성과 상관없이요. 근데 이 책은 어둡기만 한 건 아니더군요. 제목에도 들어있듯이 사랑을 강조하는, 사랑에 의한 작품이었어요. 모양과 색깔도 너무 다양하더라고요. 볼 게 많았던 작품이었어요^^

노예들의 삶을 일일이 나열할 마음은 없지만, 인간의 잔혹성에 대한 내용은 얘기안할 수가 없네요. 대체 흑인들이 무슨 죄가 있어서 그런 대우를 받아야만 했는지 계속 생각이 들었어요. 인간은 어디까지 잔인해질 수 있는건지...

그러고보니 지금 우리도 코로나로 인해서 자유를 잃었군요. 1년을 그렇게 살다보니 어느덧 그게 또 자연스러운 것이 돼버렸어요. 노예들도 차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을까 싶어져요. 여튼 11월도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네요. 개인적으로 넘 바쁘고 정신없는 한달이었어요. 댓글도 이제야 다네요ㅜㅜ 남은 한 달도 잘 지내시고 건강 또 건강하세요ㅎㅎ

나비종 2020-12-01 19:08   좋아요 1 | URL
어지러운 문맥ㅎㅎ 딱 적절한 표현이시네요. 저도 힘들긴 했어요. 다만 인물들의 의식의 흐름에 집중하고 난해한 문맥들은 그냥 흘러가게 놔두었을 뿐이죠.
흑인문학이 그렇군요. 어두운 것은 딱 질색인데..^^; 저는 가볍지 않은 깊이가 좋더라구요. 칙칙하지 않고 함부로 할 수 없는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있더라구요.ㅎㅎ

인간의 잔혹성을 그려낸 작품들을 접할 때마다 성선설과 성약설을 생각해보곤 해요. 개인적으로는 성악설에 가까운 편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중이구요.

코로나로 인한 자유의 상실.. 맞아요! 마스크 끼고 수업 시간에 중얼거리려면 어떨 땐 환장하겠거든요.ㅠㅠ 이게 수업인지 방백인지 구분이 안갈 때도 많구요, 안쓰럽기도 하고, 갑갑할 때가 많아요. 이제는 마스크를 벗고 있을 때 허전한 느낌까지 드는 걸 보면 적응의 존재가 맞기는 한가 봐요.

12월의 첫 날에 쓰는 글이네요.ㅎㅎ 이번 달도 열심히 분주하게 보내겠지만 책 읽고 글쓰는 시간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노력해보려고 해요. 잘 지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