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인문학 - 음식 다양성의 한식, 과학으로 노래하다
권대영 지음 / 헬스레터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이 책을 아는 분에게서 선물받고 바로 읽기 시작하여 근래에 가장 빠른 속도로 재미나게 읽었다. 이 분야의 문외한일지라도 일독을 권하거니와 전국의 수많은 요리사 및 숙수들과 심지어 주부들에게도 추천하는 바이다. 

일단, 많은 추천사로 인해 권위가 느껴져 흥미가 일어났는데 그 6장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1장. 검증되지 않은 '고추 임진왜란 일본 전래설'과 닭도리탕에 관한 설 등을 여지없이 깨준다. 20대에 개성이 본향인 지인의 집에 놀러갔다가 그 부모님의 개성식 백김치를 맛있게 먹고서 고추 전래에 대해 나 역시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다. 

59쪽에 제자백가의 한비자라면 한나라의 漢字가 漢이 아니라 韓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82쪽에 '명우일국'은 한 나라보다 온 나라가 더 좋을 듯 싶다. 

2장. 전통시대에 특히나 한글 창제 이전에 기록문화의 오류에 대해 짚어 놓았다. 비빔밥과 김치, 청국장 등에 대해 적었는데 살림경제란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 우리의 슬기로운 조상은 균을 자라지 못하게 하여 부패를 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좋은 균을 자라게 하여 음식을 오래도록 먹을 수 있게 하는 발효를 발견했다. 

- 음식은 고온에서 조리하면 맛이 월등히 좋아지나 낮은 온도에서 조리한 음식이 몸에는 더 건강하다. 

3장. 전통적으로 사용해오던 재료를 사용해 전통 조리 원리를 지켜나가는 방식을 가지고 한식임을 판단한다. 

4장. 맛과 간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특히 시원하다 란 용어에 대해 풀어주었다. 

5장. 내게는 가장 재미있는 대목이었다. 우리 음식명 붙이는 원칙과 중요한 우리 조리 용어를 설명하였는데 요즈음은 주부들도 외래어에 오염되어 명확히 우리말로 조리 과정을 말하지 못한다. 어떤 분야든지 그 전문용어를 잘 구사하여야 하는데 이 장에서는 그 용어를 잘 정리해 주어 참 좋다. 그러므로 전 국민이 이 부분만큼은 다 읽었으면 좋겠다. 

6장. 재료, 온도, 발효가 생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암수록 - 꽃에 미친 선비, 조선의 화훼백과를 쓰다 18세기 지식 총서
유박 지음, 정민 외 옮김 / 휴머니스트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롭게 대강 읽었다. 2부는 차차 읽기로 하고 1부만 주로 보았는데 사진과 현대적 설명을 좀 곁들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67쪽에 모란 항에서, 오백의 백은 거기서는 패자와 통하므로 오패라고 읽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화암수록- 꽃에 미친 선비, 조선의 화훼백과를 쓰다
유박 지음, 정민 외 옮김 / 휴머니스트 / 2019년 3월
17,000원 → 15,300원(10%할인) / 마일리지 8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4월 16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25년 01월 07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직 설이 지나지 않아 을사년이 되지 않았건만 여기저기서 을사년이 어쩌니 저쩌니...........너무 듣기 거북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줏대가 없어서 그런지 엄밀함이 부족하다. 

최근 사건으로 년말을 우울케 한 대형사고가 있었는데 그 사고명에 대해서도 설왕설래다. 각설하고

나는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사망자라고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희생에 대해선 세월호 사고 이후로 완전히 개판이 된 듯 하다. 도대체 무엇을 희생했고 그들이 왜 희생물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도저히 난 모르겠다. 

일각에선 외국을 핑계대면서 선박과 항공기 사고  그 고유한 명칭이나 기종을 붙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금 생각해보니 날틀이나 배는 항로에서 침몰하거나 추락하면 그 사고 구역을 특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부득이 그리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 무안공항에서 벌어진 사고는 활주로 상에서 일어났으므로 구역을 당연히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안공항 사고라고 함이 옳은 듯 하다. 

끝으로 외국에서 그리 부른다고 625사변을 제발 한국전쟁이라고 부르지 말자.... 우리 전통은 사건이 발생한 해의 간지에다가 사건의 성격을 붙여서 임진왜란처럼 넉자로 만드는 것이다. 625사변이 길거나 좀 그렇다면 경인사변으로 부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김경일 지음 / 바다출판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서야 읽었다. 갑골문 전공인 지은이가 역사를 이야기했으나 내가 보기엔 일천하기 짝이 없다. 이런 부류가 범하는 큰 폐단은 공시적 통시적 안목없이 모국인 우리나라를 까기 바쁘다는 것이다. 전공자도 아니고 수십년 곱씹어보지도 않고서 다 안다는 식의 전지전능한 수수방관자 관점이 가소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