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통 건축 기술의 이해 - 일본 고대 건축기법의 흐름
무라타 겐이찌 지음, 김철주.임채현 옮김 / 한국학술정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은 지리적으로는 가까우나 친하기에는 먼나라인가 보다. 오늘도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가녀린 위안부소녀상에 일본의 극우인사가 독도는 일본땅이라며 말뚝을 박았다 하여 매우 시끄럽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보다 훨씬 더 극렬하지 않은가.

 

어찌보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영국과 미국 관계라고 한다면 지나친 말일까? 아이누족과 키작은 왜인들이 살던 일본 땅에 기마민족이며 항해술이 뛰어났던 삼국인들이 무수히 건너갔다. 특히 나라가 망한 가야인과 백제인은 숱하게 이주하였을 것이다.

 

얘기가 다소 빗나갔지만 어쨌거나 이래저래 가깝기로 따지면 굉장히 가깝고 원수로 치면 불공대천지원수인 일본이다. 그런 나라라서 그런지 -물론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럽 몇 나라를 빼고는 자료가 거의 없다- 일본에 대한 려행서 빼고는 볼 만한 책이 별로 없다. 근자에 일본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서 일본 력사와 불교사와 건축에 대한 책들을 바쁜 와중에도 너댓 책을 읽었는데 그리 썩 만족스럽지는 못했다.

 

일본 전통 건축에 관한 책은 나에게 세 책이 있는데 먼저 천연사진이 실린 책을 보고 나서 이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저렴할 뿐만 아니라 그냥 보면 내용이 별로 없는 듯 하지만 초학자들이 이해하게끔 잘 풀어서 설명해 놓았다.

일본에 가보면 워낙에 잘 정리되어 있고 또 꼼꼼한 사람들이라 전통 문화가 잘 전수되고 있을 법한데 이 책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가보다. 기능인인 목수의 수가 줄어들고 있고 자라나는 세대들이 전통건축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여 걱정하는 것을 보니 뜻밖이다. 그러나 그들이 백여년 가까이 쌓은 수리보고서라든지 상세한 정밀도면은 상당히 부러운 점이다. 20년마다 부분보수를 하고 200~300년마다 전체보수를 한다는데 여기에 목조 건축의 놀라운 장점이 있었다. 예전에 전통건축 수업을 들었는데 교수님께서 부석사 무량수전을 예로 들면서 비록 고려조에 지어졌으나 지금은 모든 부재가 다 바뀐 상태라고 주장하셨었다. 그때는 처음 듣는 얘기였지만 일리가 있어서 별 생각없이 넘어갔다. 그런데 이 책에서 지은이는 호류지의 1300년된 전각을 예로 들면서 핵심공간인 내진 구역은 외진이나 지붕(옥개부) 등의 보수만 잘 이루어졌으면 호류지의 전각처럼 1300년도 버틸 수 있다고 하였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아니 과학적으로 검증된 일이고 조금만 생각해 보면 타당한 논리이다. 다시 한번 일본인들의 치밀하고 과학적인 사고를 느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 책에서 재밌게 본 내용은 일본인 지은이가 찾아낸 2칸 10미터의 구조이다. 목조는 부재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고 이러한 영향은 구조를 통해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 일본에서 즐겨쓰는 목재와 특히 지붕을 가볍게 하기 위해 쓰이는 재료들은 낯설지만 흥미로웠다. 특히 일본 전통 기법인 세와리와 아리쟌은 비슷한 것이 당연히 우리나라에도 있겠지만 실생활에서 써먹을 수 있겠다.

끝으로, 나이테 연대측정법인데 우리나라에도 있는지 모르겠으나 기후사?를 바탕으로 하는 그 기준이 아주 흥미로운 학문이라고 생각된다.

일본 려행을 자주 하시는 분들에게 이 책을 한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분량이 많지 않아 부담스럽지도 않으며 평이하여 읽기 편한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슴츠레 2019-06-27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석사 무량수전은 완전 해체보수를 한 적이 없습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건물인 봉정사 극락전이나 수덕사 대웅전은 해체보수를 한 적이 있지만, 부석사 무량수전은 아직 해체보수를 하지 않아서 가구 구조의 대강은 알 수 있지만 그 내부 결구법은 정확히 알 수 없을 정도죠.일례로 문화재청에서 발간하는 실측조사보고서만 있고 수리보고서가 없는 대표적인 건조물 문화재 중 한나랍니다.

狂人 2019-07-07 0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아마도 그 교수님의 의견은 근현대이후의 보수를 두고 한 말씀이 아니라 기록에 남아 있지는 않지만 고려 조선시대의 상황을 두고 한 이야기겠지요. 목조 부재가 700~800년 가량 지속되기가 쉽지는 않겠지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