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veretc/music/coversum/9114104539_1.jpg)
외롭고 웃긴 가게 이후에 처음 듣는 그녀의 노래다.
담다디로 매스컴을 탈 때보다
순식간에 사라졌다가 어느 때 쯤 슬그머니 다시 나타나 들려주던 노래들이,
그 선머슴 같던 모습보다 이런 여인의 자태가 그녀에게도 나에게도 더 편안하다.
모처럼 대학생 조카들 셋이 찾아와 떡볶이 집 철판에 다섯 사람 분의 김치볶음밥을 만드느라
멀리서 웅얼거리는 가사와 함께 처음 들었을 때는 나의 기대가 너무 컸나 했었지만
아이들이 잠든 밤 하루종일하던 단순작업을 계속하면서 다섯 번 째로 돌려듣고 있을 때는
가사 한 마디 한 마디까지 들리면서 지루하지 않고 행복했다.
어느 평론가가 썼듯이
처음에는 <삶은 여행>이 제일 먼저 들렸지만 되풀이해서 들을수록 골고루 들린다.
옛날옛날 한 청년이 배를 타고 흘러흘러....세상을 바꾸려고도 했었지만....
이 청년이 누군인지 알고 나서는 같은 얘기도 참 심플하고도 유쾌하게 썼구나 하면서 흡족했다.
다만 그 동안 들어왔던 그녀의 노래(공무도하가,외롭고 웃긴 가게가 전부지만)와
내겐 너무 비슷하게 느껴지는 것이 옥의 티다.
자신의 분위기를 그대로 살리면서도 예전과는 다른 무언가를 기대한 나는,
음악을 잘 알지 못하고 섬세하게 분석하며 듣는 것이 불가능한 나는 아쉬워해야 했다.
그렇지만 어쨌든 좋았고 요 며칠 사이 매일 되풀이해서 듣고 있다.
미니도 몇 가지 가사를 흥얼거릴만큼... 용서해 용서해 그리고 감사해
길다면 이제 어느 정도 긴 내 삶에 콘서트에 간 것은 손가락을 꼽을 정도다.
혼자 울산에서 자취하던 시절 라디오 공개 방송에 초대된 이문세가
조명이나 무대는 허름했지만 거의 단독콘서트와 같은 무대를 보여주었던 날(입장권은 삼천원이었다.),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일본의 조용필이라 할 수 있다는 차게 앤 아스카(이름이 맞나?)의 공연이 있었지만
어두운 밤에 두뇌회전은 필요없고 손의 기억만으로 가능한 일을 하고 앉아 있으니
동생이 생일 선물로 성균관대에서 했던 콘서트 티켓을 구해서 함께 간 날이 떠올랐다.
생일은 여름이었지만 그 때는 추운 계절이었나?
아뭏든 일찍 도착하여 콘서트홀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며 야광팔찌도 샀다.
조용히 듣기도 하고 얼마동안 신나게 뛰기도 하고
끝나고 나서는 맛있어 보이는 빵도 사고 작은 액세서리 가게를 구경하기도 했다.
그 날의 작은 동작들은 기억에 또렷한데
정작 그 때 무대 위에서 노래했던 가수가 누구였는지는 아주 까맣게 잊어버렸다.
하지만 이 노래들을 들으며 그 날 노래했던 사람도 이상은이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 내 추억의 한 자락이 만족스럽게 완성될 것 같은 기분 ^^
적어도 우리 부부에게는 보석같은 아이들을 키우면서 살아가는 지금도 나쁘지는 않지만
내가 책임져야 할 사람이 아무도 없던,
그 때는 깨닫지 못했지만 무척 자유로웠던 날들이 그리워지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퉁명스럽기는 해도 아침을 먹다 말고 "저건 누구야?"라던 옆지기의 지지선언으로
잠깐 겨울바람이 꿰뚫고 지나기라도 한 것처럼 시리던 마음을 달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