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늦은 저녁을 짓느라 바쁘게 움직이는데
발 밑에서 이리저기 기어다니던 막내가 자지러지게 울었다.
아빠는 생선 다듬으려고 준비하던 중이고 엄마는 김치찌개 끓이느라 혼자 놀았는데
뜨거운 그릴을 짚고 일어서려고 손을 갖다댄 모양이었다.
우리랑 아이는 1미터도 안 떨어져 있었는데
그런 일이 일어날 줄 둘 다 상상도 못하고 있다가 막내가 제법 넓고 깊게 데이고 말았다.
나는 어린이 응급처방 뭐 이런 제목의 책을 읽은 기억이 나서
화상 부위의 온도를 낮춰주려면 무조건 찬물에 씻어야 된다고 흐르는 물에 손을 대놓고 있는데
남편은 그러는 게 아니고 잠깐 있다가 술로 씻어줘야 된다고 고집을 피웠다.
어제는 내가 주장한 대로 찬물로 씻고 화상연고를 발라주었는데
아침에 출근하기 전에 동의보감에서 이 구절을 찾아서 보여준다.
< 탕화창 > 대역 동의보감 1646쪽
끓는 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는 초기에 통증을 꾹 참으며 급히 불 가까이 대고 한 동안 억지로 참으면 아프지 않다. 이 때 찬 것을 붙이면 안 된다. 열독이 나가지 않으면 근골을 짓무르게 하기 때문이다. (중략) 불에 데었을 때는 좋은 술로 씻고 소금을 붙인다. (하략)
양방에서는 온도를 낮추어 열을 풀라고 하는 것이고
한방에서는 급격히 온도를 낮추면 오히려 열이 밖으로 빠져나갈 길을 잃어버려 근골을 상하게 하니, 술로 씻어 알코올이 증발할 때 열을 뽑아내어 가도록 하라는 얘기인가보다.
그렇지만 초기에 불 가까이 대고 한 동안 참으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나는 양쪽 의견을 절충해서 앞으로 데인 상처는 술로 씻어 진정시키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냈다.
탕화창을 치료하는 여러가지 약도 소개가 되어 있었는데
여러가지 약재가 없어도 도움이 되는 몇 가지를 적어본다.
배(생것)를 썰어 붙이면 살이 짓무르지 않고 통증이 멎는다.
검은 참께(생것)을 질게 짓찧어서 붙인다.
백반(생것)을 가루내고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끓인 물이나 불이나 뜨거운 기름에 데었을 때는 꿀을 바른다. 대나무 속 흰 막을 하루에 3번씩 붙여주어도 아픔이 멎고 낫는다.
식초의 지게미를 붙이면 상처가 남지 않는다. 간장을 발라도 묘한 효과가 있다.
꿀에 배즙을 섞어서 너무 끈적거리지 않을 정도로 부드럽게 만들어 발라주어도 좋을 것 같다.
막내에겐 몇 가지 약재를 곱게 가루내어 꿀이랑 참기름에 개어서 상처에 바르고 감싸주었다.
얼른 딱지가 앉고 새살이 돋고 곱게 낫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