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백의 그림자 -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판매중지


책의 배경은 40년 된 전자상가에 철거가 진행되거나 남아 있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그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그림자라는 존재가 항상 곁에 있다. 이것을 나는 죽음으로 생각했지만, 굳이 죽음이라기 보다 삶의 무게쯤으로 생각 하는 것이 더 가까울 수 있겠다 싶다.
두 남녀의 연애가 주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등장인물 중에 한 명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 책을 색으로 표현하자면 안개색에 가깝다 하겠다. 사건의 진행이 중심이 아니라서 뚜렷한 색깔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읽는 내내 너무 무겁지도 착찹하지도 않았지만 큰 감흥이 있지도 않았다.

예전에 어디서 읽은 것인데, 요즘 소설들은 이야기가 없다고 얘길 했다.
그런것이라면 이 책은 이야기가 있는 소설이다.
나는 소설을 좋아한다. 이유인즉, 생각의 거리를 주는 것 같아서다. 가령 정유정 소설은 분명한 색깔이 있다. 사건도 있고. 그래서 생각할 거리를 직접적이고 분명하게 던져준다. 그래서 소설에 몰입하기도 쉽고 읽어가는 속도도 빠르다.
그렇지만 분명한 사건중심으로 글을 쓰기 때문에 우리가 무진기행이나 1990년대 소설같은 그런 맛은 덜하다. 이 소설은 간만에 그런 소설을 읽은 듯 했다. 뭔가 한국적인 숭늉같은 맛이 나는 소설.
그래서 이 책은 덥으면서 깔끔한 끝맺음은 덜했으며(사실 이야기가 더 있을 줄 알았으나, 작가의 말이 나와 이게 끝이야?했다. 당황한 것이지) 심사평을 읽으며 더 어려웠다.

그래도 이런 맛의 소설이 간만이었고, 몇 몇 부분은 이해했으므로 그것으로 됐다 싶다.
이 작가의 다른 작품들이 궁금해지고, 이 소설은 종이책으로 다시 읽어보고 싶다. 그리고 비교해보고 싶어진다. ebook으로 읽은 느낌과 종이책 읽은 느낌이 다른 것인지, 첫번째 읽고 두번째 읽어서 느낌이 다른 것인지.

ㅡp.168
이런 소설을 읽은 것이다. 현실의 자명성, 불행의 평범성, 언어의 일반성, 윤리적인 무지, 연인들의 공동체...... 저렇게 조각내어 말할 수도 있지만, 모든 좋은 소설이 그렇듯, 이 소설도 저 요소들을 표 나지 않게 뒤섞어서는 그저 황정은 특유의, 라고 말 할 수밖에 없는 어떤 정서와 울림을 이룩해 냈다.
(작품 해설 中)

ᆞ그래, 난 그런 소설을 읽은 것이다. 표 나지 않게 섞인 어떤 특유의 정서와 울림이 있는 그런 소설을......

ㅡp.168
이런 소설을 읽은 것이다. 현실의 자명성, 불행의 평범성, 언어의 일반성, 윤리적인 무지, 연인들의 공동체...... 저렇게 조각내어 말할 수도 있지만, 모든 좋은 소설이 그렇듯, 이 소설도 저 요소들을 표 나지 않게 뒤섞어서는 그저 황정은 특유의, 라고 말 할 수밖에 없는 어떤 정서와 울림을 이룩해 냈다.
(작품 해설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길 (반양장) - 박노해 사진 에세이, 티베트에서 인디아까지
박노해 지음 / 느린걸음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ㅡ그 길 이 나 를 찾 아 왔 다

그렇게 시작됐다. 나의 유랑길은.

한 시대의 끝간 데까지 온몸을 던져 살아온 나는,
슬프게도 길을 잃어버렸다. 나는 이 체제의 경기 밖으로
나를 추방시켜, 거슬러 오르며 길을 찾아 나서야 했다.
`앞선 과거`로 돌아 나오고자 하는 기나긴 유랑길이었다.

오래된 만년필과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 하나를 들고
내가 가 닿을 수 있는 지상의 가장 멀고 높고 깊은 마을과
사람들 속을 걸었다. 내가 찾아간 마을들은
공식 지도에 없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현장에서 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 길을 잃어버리곤 했다.

이 세계의 지도가 선명하고 첨단일수록 길은 하나뿐인 길.
그렇게 오래되고 다양한 삶의 길들은
무서운 속도로 잊혀지고 삭제돼가고 있었다.
어느 아침 나는 지도를 던져 버렸다.
차라리 간절한 내 마음속의 `별의 지도`를 더듬어 가기로 했다.

막막함과 불안과 떨림의 날들. 난 모른다. 언제였는지.

ᆞ머릿말의 첫 장이다.
지도에도 없는 곳을 다닌다는 것이 어찌나 멋지던지.
<바닷마을다이어리>에서도 그런 말이 나온다. 지도를 펼치고 지도에 없는 곳을 찾아 떠나고 싶었다고.
그런데 생각해보니 바보짓이더라고.
스즈의 외사촌오빠의 말이었는데, 심한 방향치 길치 이다. 길을 잃어버리고 가다가 뜻하지 않게 목적지에 와 닿거나, 이쁜 곳을 발견했을때의 기쁨을 이야기 하던 부분인데, 이 책과 더불어 느림의 미학을 읽을 수 있었다. <종의기원>, <소년이온다>를 읽고 이런 느리고 여유로움의 책을 읽는 것은 행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감정 회복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 동안 이 책<다른길>과 <바닷마을다이어리>의 여운에 빠져있을듯 하다.

ᆞ참, 이 책은 책갈피끈이 두 개다. 특이하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날의 파란 하늘 : 바닷마을 다이어리 7 바닷마을 다이어리 7
요시다 아키미 지음, 조은하 옮김 / 애니북스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축구 장학생 선발 제의를 받아들이기로 한 스즈.
셋째 언니의 고민을 알게되는데..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고 앞으로도 이어진다.

ᆞ영화로 만들어 진 이야기는 1권ㅡ5권쯤 되는 것같고, 책 내용을 줄여서 영화를 만들었다기 보다는 재밌는 에피소드와 인물들을 뽑아서 영화로 만들었다.

언니들의 연애이야기는 과거형으로 연인들과 헤어지는 내용이 중심이었고, 스즈는 축구팀에 들어가고 실력있는 학생 정도로만 묘사되었다.
영화는 거의 스즈가 새언니들과 만나고 친해지는 감정 전달이 중점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만화는 그 외 주변 인물들도 비중이 매우 크며, 불륜커플인 부모의 이야기도 꽤 나온다. 착하기만 하고 우유부단할 거라는 생각으로 영화를 봤지만 책에서는 스즈의 부모의 삶이 둘만을 생각하며 살진 않았구나라고 이해시켜 주었다.

우리 정서에는 안 맞는 조합인거 같았지만, 언니들은 성인이고 엄마 아빠 없이 산 시간이 길었기에 어른들의 일은 어른들의 일뿐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겠다고 공감하게 만들어 주는 것도 책의 역할이 컸는 것 같다.

따뜻하고 재미있는 동화같은 만화를 읽는 기분이었다.
다음 편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이 오면 그녀는 : 바닷마을 다이어리 6 바닷마을 다이어리 6
요시다 아키미 지음, 조은하 옮김 / 애니북스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스즈는 축구 장학생 제의를 받아 고민 중이다.
언니들을 떠나 혼자 생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또 혼자 남게 될까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빛 : 바닷마을 다이어리 5 바닷마을 다이어리 5
요시다 아키미 지음, 이정원 옮김 / 애니북스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큰언니는 통증완화병동(호스피스병동)으로 옮기고 마을의 맛있는 식당 아줌마가 이 병동에서 처음 맞는 환자의 죽음이었다.

언니는 언니대로 환자의 비밀을
스즈는 스즈대로 이 아줌마가 약을 드시고 있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알려서는 안된다는 비밀을
둘째 언니는 이 아줌마의 유언에 대햐 비밀을
가진채 아줌마를 지켜보다 죽음을 맞이하고 장례식장을 다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