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네일세상은 넓고 보는 눈은 다양하다.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고 섣부른 판단을 내리는 순간 잘되던 일도 꼬여버린다. 경계를 치거나 단정을 짓는 건 만큼 부질없는 것도 없다. 나와 다른 생각일수록 더 옳다는 자세로 세상일을 바라보면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넓은 눈을 가지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 우리 일상사는 늘 부딪힘의 연속일 뿐이다.

 

 

정치마당도 마찬가지다. 대선을 앞둔 여러 소식을 보자면 한마디로 저마다 옳다. 후보자 유권자 각각 저들만 바른 목소리이고, 저들만 나은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선거일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제대로 된 정책은 나오질 않고 곡절 많은 정쟁만 넘쳐난다. 유권자들도 정책에 대한 서늘한 칼날보다 정쟁에 대한 영양가 없는 입씨름만 보탠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고 부추기는 모든 것에서 벗어나고 싶다. 좀 더 창의적이고 느슨한 기운들이 넘쳐났으면 좋겠다.

 

 

에드바르트 뭉크의「그다음 날」이란 작품이 있다. 이 그림이 20세기 초 오슬로 국립미술관에 걸렸을 때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가슴을 풀어헤치고 팔은 늘어뜨린 채 소파에 널브러진 술 취한 여인의 그림이 이해받기란 힘들었다. 술 마신 다음날의 번민어린 실체를 뭉크는 말하고 싶었겠지만 여론은 예술가의 진정성 따위는 알고 싶어 하지 않았다. 자신들의 잣대가 가리키는 현상만을 볼 뿐이었다.

 

 

취기에 젖은 이 못된 여자가 쉴 만한 장소는 국립미술관이 아니라는 냉소적인 기사에 여론이 열광할 때, 멋진 반전을 이끌어낸 미술관장의 한 마디가 가슴에 꽂힌다. ‘그림 속 여인이 깨어나면 물어보겠다. 이곳이 쉴 만한 곳이냐고. 그러나 지금은 자게 내버려 둬야 한다. 그녀가 있는 것이 미술관의 영예가 될지 치욕이 될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라고.

 

 

옌스 티스 미술관장 같은 통 크고 열린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식견 좁고 지혜 부족한 나 같은 사람의 눈을 틔게 했으면. 보는 만큼 알게 된다. ‘그다음 날’을 발견해내는 아량 넓은 견자의 시선이 부러운 날들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12-10-21 2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르웨이 참사가 있던 날,
총리가 그랬대요.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응징과 처벌이 아니라,
더 많은 민주주의와 더 많은 개방성, 더 많은 인간애... 라고 했대요.

부럽죠. ^^
그런 넓은 시야가 말입니다.

다크아이즈 2012-10-22 22:16   좋아요 0 | URL
노르웨이 총리 같은 마인드 꼭 배우고 싶네요.
응징과 처벌이 아니라 더 많은 개방성, 인간애... 절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