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아프다

 

 

몸 아픈 것과 맘 아픈 건 많이 다르다. 치명적인 것이 아니라면, 몸 아픈 건 물리적 처방과 시간이 주어지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 하지만 맘 아픈 건 심리적 처방과 시간이 주어져도 쉽사리 해결되지 않는다. 몸 아픈 건 나 혼자 감당해야 하는 거지만, 마음 아픈 건 몸 아픈 것과 달리 그 사이에 사람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예계 절친 두 명이 불화설에 휩싸였다. 싸이와 김장훈이 그들인데 단순한 연예계 가십으로 치부할 수 수 없는 것이 그들 일련의 행보가 자신들 의지와는 상관없이 공인의 위상으로 넘어와 버렸기 때문이다. 한 명은 ‘강남 스타일’ 노래 한 곡으로 세계를 제패하는 중이고, 다른 한 명은 노래와 콘서트로 번 돈 대부분을 세상 약자 및 독도와 위안부 문제 등에 할애하는 기부 천사로 활동 중이다.

 

 

  둘 사이가 불편하게 된 건 공연 문제 등 지극히 개인적인 것 때문이지만 인간관계 갈등에 대한 전형을 보는 것 같아 공감이 절로 된다. 한 사람이 너무 잘나가면 남아있는 다른 한 사람은 소외감을 느끼기 마련이다. 잘나가는 한 사람이 꿈에도 그려보지 못했던 빌보드 차트 일위를 넘볼 때 다른 한 사람은 뉴욕 타임스퀘어 거리 광고판에 ‘기억하시나요’라는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는 위안부 문제 광고를 올렸다. 보험금까지 깬 돈으로 24시간 돌아가는 광고를 연말까지 진행한다니 대단한 선행이다. ‘강남 스타일’이 언론에 도배될 때 진작 ‘기억하시나요’ 에 관한 보도는 단신으로 겨우 나올 정도였다.

 

 

  사람은 이기적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선행을 할 때 사람들은 타인을 위해서라고 말하지만 심리학적으로 볼 때 그 선행은 온전히 타인을 위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타인을 위한다는 명분이 있을 뿐 실제로는 자신을 위해서 선행한다. 자신의 자존을, 자신의 만족을, 자신과의 약속을 위해 선행을 한다.

그런 면에서 어느 한쪽은 너무 띄워주고, 다른 한 쪽은 무관심으로 반응한 언론이 이 둘의 갈등을 부채질한 꼴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위안부 광고 문제에는 그토록 인색했던 언론들이 SNS에 올린 김장훈의 민감한 글들은 도배하다시피 보도한다. 쌈을 부추길 뿐, 마음이 아프다는 개인에 대한 배려는 안중에도 없다.

 

 

  갈등 당사자 어느 한쪽에 책임을 물을 수 없는 크고 작은 문제들이 인간관계에는 항시 존재한다. 인간은 오묘한 동물이라 갈등 없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을 야기시키는 이도, 해결할 자도 갈등 당사자들일 뿐이다. 맘이 아프다는 약자에게 잘못 없는 강자가 손을 내미는 것 또한 인간적인 모습일 것이다. 사람 곁에 사람 있는 한 위안이지 고통이다.

 

  그게 인간관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