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 보면 등장인물 이름을 참 센스 있게 지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모험 항해 소설『로빈슨 크루소』의 ‘프라이데이’가 그렇다. 학생들 독서 토론용 책으로 자주 접하게 되는데 볼수록 책 내용보다는 이름에 눈길에 간다. 캐릭터 상황을 잘 살린 이름이라서 그런가 보다. 왠지 이 책은 펼치게 되더라도 앞부분은 읽기가 꺼려진다. 지루한 항해와 난파, 무인도 표착과 생활 과정 등은 별 특징이 없어 기억에 남지도 않는다. 로빈슨 크루소가 축제의 희생양이 된 프라이데이를 구출하는 장면부터 눈길이 확 끌린다.

 

  금요일에 발견하였다고 이름마저 프라이데이인 로빈슨 크루소의 충직한 노예. 주인공인 로빈슨 크루소를 넘어서지 못하고 그림자 역할에 머문 프라이데이는 연민과 안타까움을 불러일으켰다. 독자로서 더 큰 의미 부여를 하고 싶어 안달 나게 하는 캐릭터였다. 이런 갈증을 일찍이 성찰한 이가 있었으니 프랑스 작가 미셀 투르니에였다.

 

  18세기 초, 로빈슨 크루소가 탄생한 지 250년이나 흐른 뒤 투르니에는 그 소설을 재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원작 로빈슨 크루소가 나온 당시는 백인과 영국과 문명인과 기독교가 세계관의 기준이 될 때였다. 그러니 계몽주의적 입장에서 그 기준을 넘어서는 타인종과 기타 대륙과 비문명인과 비기독교인은 교화의 대상으로 보았다. 프라이데이가 주체성을 확립할 수 없었던 이유가 거기에 있었다.

 

  프라이데이에게 주체의식을 부여하고 싶었던 투르니에는 로빈슨 크루소를 패러디한『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처녀작으로 내놓았다. 프랑스 작가가 썼으니 프랑스 말로 금요일에 해당하는 ‘방드르디’란 이름이 등장하게 된다.

 

  작가는 방드르디에게 개성을 확실하게 부여한다. 프라이데이가 단순한 주인의 노예였다면 방드르디는 당당한 주체로서 행동반경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프라이데이가 착한 수동성을 의미한다면 방드르디는 천진난만한 능동성을 부여받았다. 원작에서는 로빈슨 크루소가 주인공이었다면 패러디 작에서는 당연히 방드르디가 이야기의 주체자였다. 방드르디와 로빈슨 크루소는 주인과 노예가 아니라 인간대 인간으로서 연대하는 동료가 되는 것이다.

 

  세계관의 전복이 이루어진 것이다. 세상에 미개인과 문명인의 경계가 어디 있으며, 니 땅 내 땅이 어디 있으며, 가르치고 배우는 구분이 어디 있냐고 말하는 것이다. 사람은 사람이고 자연은 자연일 뿐 우위의 논리로 설명될 수 없는 게 문명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가 문명이라고 말할 때 그 구분법은 휘파람 부는 날의 미세한 심장의 떨림을 알아차리고, 개미에게도 그들의 길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고, 바람 부는 언덕의 풀냄새만으로도 공기의 흐름을 눈치 채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는 것이다. 그 가늠자가 되는 나만의 친구 ‘금요일’을 찾아 옷깃을 여며 나서 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