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철학 범우문고 185
가드너 지음, 이창배 옮김 / 범우사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자신만의 거울로 세상을 본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자기가 꾸려온 삶의 방식대로 사물과 사람을 본다. 객관적 눈을 가졌다고 자부할수록 실은 편견이라는 잣대가 웃자란 경우일 때가 많다. 각자 경험한 만큼 사물을 평가하고, 스스로 처한 상황에 따라 사람을 평가한다. 하지만 옳고 그름을 판단하려할수록 그 경계는 실체가 없다.

오랜만에 친구들이랑 카페에 들렀다. 휴가철이라 다들 산과 바다로 떠났는지 실내에는 우리밖에 없다. 심심했는지 곁자리에 앉은 사장이 슬쩍 우리 수다에 끼어든다. 눈치를 보더니 본심을 얘기한다. 테이크아웃해서는 안 되는 팥빙수를 사간 고객이 카페 전용 빙수 용기를 돌려주지 않는단다. 몇 호에 사는지도 모르는 그 손님 하나가 주민들 이미지를 다 흐려놓았다고 흥분한다. 업주 입장에서 양심불량인 그 손님이 서운할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 주민들 이미지까지 판단하는 건 섣부르다 싶다.

영국의 수필가 알프레드 가드너는 그의 작품`모자철학`에서 이런 인간의 속성을 잘 묘파했다. 작품 속 모자가게 주인은 모자 크기(머리크기)로 손님을 판단한다. 변호사나 선장 등 전문직 종사자는 머리가 크고, 일용직이나 육체노동자 등 단순직종인들은 머리가 작다는 장광설을 늘어놓는다. 마찬가지로 금융업자는 돈의 유무에 따라, 가구상은 의자의 질에 따라, 미식가는 요리 솜씨에 따라 상대를 재단한다는 것이다. 가드너식대로라면 카페사장은 빙수 그릇을 되돌려주느냐 아니냐의 잣대로 사람을 판단했다.

사람은 이해하고 소통하는 관계이지 판단하고 평가하는 대상이 될 수는 없다. 한데도 우리는 세상을 제 안의 눈으로만 본다. 그 눈은 결코 객관적이지도 선명하지도 않다. 편견이라는 모자를 완전히 벗어던지지는 못하겠지만 그 모자가 온전하지 않다는 것만이라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우리는 보고 싶은 사실을 볼 뿐, 봐야할 진실을 보는 데서는 언제나 멀리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