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는 도시에는 작은도서관이란 게 숱하게 많다. 적어도 스무 개 이상?

 

  시에서 마을마다 만들어준 도서관인데 우리 아파트 안에도 떡하니 자리 잡고 있다. 요것이 얼마나 편리한지 내 책방에 있는 책도 분류가 안 되 찾기 힘든 건 포기하고 도서관에 전화해서 있다고 하면 조르르 달려가기만 하면 된다. 며칠 전 <토니오 크뢰거> 급하게 필요했는데 내 책방에는 어디 처박혀 있는지 모르겠고 막 도서관으로 달려갔더니 싱싱한 채로 책꽂이에 꽂혀 있다. 얼마나 요긴한지. 행정 당국이 모든 걸 잘 하는 건 아니겠지만 이런 머리 쓴 건 참 인정해주고 싶다. 각설하고

 

  며칠 전, 우리집에서 좀 멀리 떨어져 있는 작은도서관에 볼일이 있었다. 우연히 내 눈앞에 보이는 책장에서 위의 책을 발견했다. 저자 이름이 낯익어서 한눈에 띄었다. 플라시보님의 필명이 독특해서 금세 눈에 띄었다. 도서관 오픈하면서 신간으로 사들인 것 같았다. 책 내용과는 상관없이 반가운 이름이다. 내가 알라디너로 입문할 시절 내게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었던 ~디너들이 몇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플라시보님이다. 왠지 빌려야 할 것 같은 의무감에 볼일 보다 먼저 책을 빌렸다. 연애서적을 빌리는 중년 아지매를 담당자가 뜨악한 눈으로 쳐다봤다. 연애 따윈 관심도 없지만 없는 새초롬함을 빌려 왜, 아줌마는 연애에 대해서 좀 알면 안 돼? 하는 표정을 지어줬다.

 

  플라시보님 책 이야기 하려는 게 아니고, 그 때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알라디너 네 명 중 세 명이 알라딘을 떠난 것 같다. 차례로 그 네 분은 플라시보님, 주드님, 파란여우님, 로쟈님인데 로쟈님만 남아 있고 다른 분은 다른 곳으로 옮겨가거나 휴지기 중인 것 같다. 그들의 글은 각기 특징이 있었다. 번득이는 상황 묘사에 능한 플라시보님 글은 재미를 주었고, 주드님 글은 깨질듯한 민감한 감성이 무기였다. 내가 편집자라면 주드님을 꼬드겨 다듬어서 책을 내게 하고 싶을 정도로 예민한 글을 썼었다. 파란여우님은 현장성이 뛰어난 전투적 문체를 갖고 있었는데 동년배인 님에게 공감하기가 쉬워서 내가 좋아했었다. 로쟈님이야 뵌 적 없지만 디너들이 인정하는 최고수이니 존경의 헌사 한마디로도 함축 될 수 있을 터고...

 

  그때 뭐 이런 괴물들이 활동하나 싶어서 신기했다. 지금은 더한 고수들이 득시글거리니 가끔은 책으로 무장한 사람들의 정글인 알라딘이 무서울 때가 있다. 글께나 쓴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나는 알라딘 서재를 많이 권한다. 글 안 쓰더라도 거기 가보면 무림고수들이 한 자리씩 꿰차고 있어 배울 게 많거나 스스로 초라하거나. 전자라야 견딜만한데 나는 후자의 감정이 많기 때문에 언제나 그들이 부럽다. 부러우면 지는건데 알라디너들에게 지는 거야 영광이라 생각한다. 

 

  쉬다가다 하는 나야  떠날 일도 없지만  열심히 하던 분들이 사정상 안 보이니 많이 그립다. 실은 눈물나도록 그립다. 독자로서 그 글들이 내뿜는 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오직 글로써 그리운 것이다.

마을도서관에 꽂힌 낯익은 플라시보님 책 때문에 옛 생각이 나서 몇 자 끼적여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